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이수원자 남쪽유적

梨樹園子南遺址
  • 저필자
    권순홍(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 시대
    고구려
  • 유형
    생활
규모
남북: 80m, 동서: 150m
입지
집안시 박물관 서쪽 480m의 대지로, 평지보다 7~10m가량 높다.
유적개관
1958년 조사 당시 큰 초석 4개가 동서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적색의 기와편들이 널려있었다고 한다. 부근에서 백옥이배를 비롯하여 금동제화살촉, 도금된 장식들과 다량의 기와와 와당들이 출토된 것을 볼 때, 고구려의 중요 건축지로 판단된다.
유물개관
백옥 이배, 금동제 화살촉, 와당 등
참고문헌
「高句麗の歷史と遺跡」, 1995
해설
국내성지 북쪽의 우산 서쪽 기슭에서도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주변 평지보다 7~10cm 정도 높은 완만한 산비탈로 동서 길이 150m, 남북 너비 80m이다. 만주국의 군대 막사를 짓다가 발견되어 병사 유적이라 불렸는데, 지금은 배 과수원 남쪽에 위치했다 하여 이수원자남 유적으로 불린다. 유적지 서반부에 화강암 초석 4개가 동서로 배열되어 있고, 붉은색의 암키와와 수키와가 산포한다. 일찍이 ‘십곡민조(十谷民造)’라는 명문(銘文)이 있는 와당이 채집되었다. 앞뒤는 알 수 없지만, ‘십곡(十谷)의 민(民)들이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권운문와당 2매, 도금제 동촉과 그릇 뚜껑 등이 출토되었고 특히 1958년 정지작업 때, 길이 13cm, 폭 9.5cm의 한대(漢代) 백옥이배(白玉耳杯)가 출토되었다. 왕궁과 관련된 건물지로 추정하기도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수원자 남쪽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