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량태산고성

粮台山古城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黑龍江省 穆棱市 興源鎭 興源村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300m
입지
산성은 동, 서, 남 3면이 모두 가파른 절벽 석벽이며, 단지 북쪽만이 비교적 평평하고 완만하다. 북쪽으로 하성자진(下城子鎭)까지 약 20km 떨어져 있고, 남쪽은 노야령(老爺嶺) 산맥의 지맥이며, 서쪽은 긍특아(肯特阿) 산맥 산지이다.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牧丹江市)에서 계서시(鷄西市)로 통하는 도로와 철도가 목릉하곡(穆棱河谷)를 따라 굽이굽이 산지를 지나간다.
유적개관
성벽은 산세를 따라서 산등성이와 절벽 가장자리에 축조하였다. 성벽은 모두 흙을 쌓아서 만들었으며, 평면은 불규칙한 다변형이다. 북쪽 성벽에서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문이 있는데 산성으로 출입하는 유일한 곳이며, 성문 밖에는 돌계단이 있고, 오솔길은 산 아래로 이어진다.
유물개관
* 양태산산성(粮台山山城)에서 출토된 유물은 매우 풍부하여, 다양한 문화현상 즉, 앵가령(鶯歌嶺)문화유존, 단결문화(團結文化)와 동강문화(東康文化)유존, 발해문화유존, 요금시기 문화유존, 명·청문화유존 등이 중첩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휘편
해설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릉시(穆棱市) 흥원진(興源鎭) 동남쪽의 목릉하(穆棱河) 북쪽 강가의 양대산(粮臺山)에 있다. 양대산은 갑자기 솟아나온 돌산인데, 모양이 목릉하에 손을 쑥 넣어 물을 마시는 것 같다. 성은 동·서·남 3면이 모두 가파른 절벽 석벽이며, 단지 북쪽만이 비교적 평평하고 완만하다. 북쪽으로 하성자진(下城子鎭)까지 약 20km 떨어져 있고, 남쪽은 노야령(老爺嶺) 산맥의 지맥이며, 서쪽은 긍특아(肯特阿) 산맥의 산지이다. 흑룡강성 목단강시(牧丹江市)에서 계서시(鷄西市)로 통하는 도로와 철도가 목하곡(穆河谷)를 따라 굽이굽이 산지를 지나간다.
양대산(粮臺山)의 높이는 368m이고, 지면보다 30m 가까이 높은 곳에 있다. 북쪽 이외에는 모두 절벽이어서 험준하고 오르기가 매우 어렵다. 북쪽으로 산에 오르면 꼭대기는 크지 않고 비교적 평탄하며 대략 방형인데, 성은 이곳에 건립되었다. 성은 남쪽과 북쪽이 50여 m, 동쪽과 서쪽이 40여 m이다. 성벽은 산세를 따라서 산등성이와 절벽 가장자리에 흙으로 축조하였는데, 평면은 불규칙한 다변형이다. 성은 축조연대가 오래되어 많이 훼손되었고 현재 너비 2m, 높이 15∼20㎝ 정도만이 남아 있다. 북쪽 성벽에서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문이 있는데 산성으로 출입하는 유일한 곳이며, 성문 밖에는 돌계단이 있고, 오솔길은 산 아래로 이어진다.
성 안에서 출토된 유물은 매우 풍부하여, 다양한 문화현상 즉, 앵가령(鶯歌嶺) 문화유구, 단결(團結) 문화와 동강(東康) 문화유구, 발해 문화유구, 요(遼)·금(金) 시기(907∼1234) 문화유구, 명(明)·청(淸) 문화유구 등이 중첩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량태산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14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