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영벽고분군

影壁墓葬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汪淸縣 鷄冠鄕 影壁村
  • 시대
    발해
  • 유형
    무덤
입지
고분군은 계관향(鷄冠鄕) 영벽촌(影壁村)에서 동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공가점촌(公家店村)으로 향하는 도로의 산기슭에 있다. 도로의 남쪽에는 남청하(南淸河)가 바짝 붙어서 동남에서 서북쪽으로 계관하(鷄冠河)로 흘러들어가고, 북쪽은 면면히 이어진 기복있는 높은 산과 연결되어 있다.
유적개관
형식은 토갱수혈봉토묘(土坑竪穴封土墓)와 석광봉토묘(石壙封土墓)이다. 석광(石壙)은 작은 돌을 이용하여 1, 2층으로 쌓아올렸으나 무덤의 구덩이는 비교적 낮다. 석광봉토묘(石壙封土墓)는 일반적으로 화장을 거쳐서, 석광(石壙) 안에는 목탄, 붉게 그을린 흙과 재가 남아있으며, 재 안에는 타다 남은 인골 잔편이 포함되어 있다. 토갱수혈묘(土坑竪穴墓)는 화장을 하지 않았다.
유물개관
약간의 도기편 만이 수습되었다. 도질은 泥質로 부드러운 모래가 섞여 있으며, 홍갈색이 많고, 흑갈색은 적다. 器形은 罐이 많고, 모두 손으로 만들었다. 口沿은 모두 敞口이고, 口沿아래는 테두리무늬(堆紋)가 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縣) 계관향(鷄冠鄕) 영벽촌(影壁村)에서 동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공가점촌(公家店村)으로 향하는 도로의 산기슭에 있다. 도로의 남쪽에는 남청하(南淸河)가 바짝 붙어서 동남에서 서북쪽으로 계관하(鷄冠河)로 흘러들어가고, 북쪽은 면면히 이어진 기복 있는 높은 산과 연결되어 있다.
고분군은 도로를 만들기 위해 흙을 모으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는데, 도로를 따라 대략 80m 구간에서 수십 기의 고분이 노출되었다. 형식은 움무덤과 봉토(封土) 돌덧널무덤이다. 돌덧널은 작은 돌을 이용하여 1·2 층으로 쌓아올렸으나 고분의 구덩이는 비교적 낮다. 봉토 돌덧널무덤은 일반적으로 화장을 거쳐서, 돌덧널 안에는 목탄, 붉게 그을린 흙과 재가 남아있으며, 재 안에는 타다 남은 인골조각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 움무덤은 화장을 하지 않았다.
이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은 길림시(吉林市)의 양둔(楊屯) 대해맹(大海猛)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유사한 점이 있는데, 영벽 고분군 쪽이 연대상 약간 빠르다. 영벽 고분군은 수(隋)·당(唐나) 시기(581∼907)의 말갈 유적으로 생각되며 연변(延邊) 지역에서 이전에 이러한 특징을 지닌 토기조각들이 약간 발견되었으나 분명하게 인식되지는 못하였다. 영벽 고분군의 발견은 이러한 문화상을 이해하는 실마리를 심화시켜주었다.
약간의 토기조각만이 수습되었다. 태토는 뻘질로 부드러운 모래가 섞여 있으며, 홍갈색이 많고, 흑갈색은 적다. 그릇 모양은 항아리가 많고, 모두 손으로 만들었다. 아가리는 모두 벌어져 있고, 아가리 아래에는 덧띠무늬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영벽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5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