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견양(犬養; 이누카히)의 아들인 종3위...]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견양(犬養; 이누카히)의 아들인 종3위 예전마(苅田麿; 가리타마로)에게 폐제(廢帝)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에 특별히 대기촌(大忌寸; 오이미키)을 내렸다. 황통미조천황(皇統彌照天皇; 아마츠히츠기이야테라스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환무(桓武; 간무)이다.]의 연력(延曆) 4년에, 예전환(苅田丸; 가리타마로)에게 대기촌이라는 성을 고쳐 대숙녜(大宿禰; 오스쿠네)라는 성을 내렸다. 나머지는 혹은 그대로 숙녜(宿禰)라고 하고 혹은 기촌(忌寸)에 머물렀다.
 
【주석】
1. 성씨록왈(姓氏錄曰)
이 일문은 〈판상계도(坂上系圖)〉 예전마(苅田麿)조에 인용된 것으로 제23권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의 일문이다. 현재 초략본의 해당 조에서는 후한(後漢)영제(靈帝)의 아들 연왕(延王)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2. 견양(大養)
견양에 대해서는 [일문24] 견양(犬養) 항목 참조.
3. 예전마(苅田麿)
판상숙녜예전마려(坂上宿禰苅田麻呂, 727~786)를 말한다. 그는 기사(騎射)에 능한 판상씨(坂上氏)의 일원으로, 판상견양(坂上犬養)의 아들이다. 귤나량마려(橘奈良麻呂)의 난 때부터 이름이 보이며,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혜미압승(惠美押勝)의 난 때 공을 세워 종4위하에 서위되고 대기촌(大忌寸)이라는 성을 받았다. 보귀(寶龜) 원년(770)에 칭덕천황(稱德天皇)이 죽고 광인천황(光仁天皇)이 즉위하자, 도경(道鏡)을 배척한 공로로 정4위하 육오진수장군(陸奧鎭守將軍)에 임명되었다. 광인천황 때 중위중장(中衛中將)을 지내면서 안예수(安藝守) 등을 겸임하였다.
4. 폐제천평보자팔년(廢帝天平寶字八年)
폐제는 순인천황(淳仁天皇)이다. 대기촌(大忌寸)이라는 성을 받은 것은 천평보자 8년 9월의 일이다(『속일본기』 天平寶字 8년 9월 을사조). 예전마려의 훙전(薨傳)에도 이해에 종4위하에 서위되었고 대기촌이라는 성을 받았다는 내용이 보인다(『속일본기』 延曆 5년 정월 무술조).
5. 황통미조천황연력사년(皇統彌照天皇延曆四年)
예전마려(苅田麻呂)는 연력(延曆) 4년에 선조가 왕족인데 비천한 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촌(忌寸) 대신 숙녜(宿禰)라는 성을 내려 줄 것을 요청하여, 11성 16인이 함께 숙녜라는 성을 받았다고 하였다(『속일본기』 延曆 4년 6월계유조). 그러나 실제로 예전마려는 이때 대숙녜(大宿禰)라는 성을 받았고 같은 해의 자료에 종3위 우위사독(右衛士督) 하총수(下總守)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가 좌경대부(左京大夫)를 겸임하게 되었다고 하였다(『속일본기』 延曆 4년 7월 을해조).
6. 숙녜(宿禰)
연력 4년 6월 이후 판상숙녜(坂上宿禰)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판상숙녜관수(坂上宿禰關守, 『類聚國史』 99, 叙位, 弘仁 5년 정월 乙卯條)가 있다. 그대로 판상기촌(坂上忌寸)이라는 씨성을 가지고 있던 인물로는 판상기촌전계(坂上忌寸全繼, 弘仁 2년 10월 17일부 「太政官符案」 『平安遺文』 1-25), 판상기촌금계(坂上忌寸今繼, 『類聚國史』 99, 叙位, 天長 3년 정월 갑술조 등), 판상기촌풍웅(坂上忌寸豐雄, 『續日本後紀』承和 5년 11월 갑술조), 판상기촌능문(坂上忌寸能文, 『日本文德天皇實錄』 天安 원년 정월 병오조 등), 판상이미길사문(坂上伊美吉斯文, 『日本三代實錄』 貞觀 4년 7월 을미조 등) 등이 있다.
우경인(右京人) 종7위상 판상기촌풍웅(坂上忌寸豐雄)은 승화(承和) 5년(838)에 숙녜라는 성을 갖게 되었다(『續日本後紀』 承和 5년 11월 갑술조). 월후개(越後介)를 지낸 좌경인(左京人) 외종5위하 판상기촌능문(坂上忌寸能文)과 대학소윤(大學少允) 종6위상 판상이미길사문(坂上伊美吉斯文)은 정관(貞觀) 4년(862)에 숙녜라는 성을 갖게 되었다(『日本三代實錄』 貞觀 4년 7월 을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견양(犬養; 이누카히)의 아들인 종3위...] 자료번호 : ss.k_0003_0030_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