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이길련(伊吉連; 이키노무라지)

이길련(伊吉連; 이키노무라지)
 장안인(長安人) 유가양옹(劉家揚雍)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이길련(伊吉連)
이길(伊吉)의 씨명은 일기(壹伎)로도 표기한다. 일기국(壹岐國)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장기현(長岐縣) 일기군(壹岐郡)이다. 이길련(伊吉連)의 옛 성은 후히토[史]이다. 『일본서기』 천무기(天武紀) 12년(683) 10월조에 일기사(壹岐史)는 연(連)으로 개성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길련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서명기(舒明紀) 4년(632)조에 이기사을등(伊岐史乙等), 동 대화(大化) 2년(646) 3월조에 이기사마려(伊岐史麻呂), 천무(天武) 원년(672) 7월조에 일기사한국(壹伎史韓國)이 있고, 『속일본기』 문무(文武) 4년(700) 6월조에 이기련박득(伊岐連博得), 경운(慶雲) 4년(707) 5월조에 이길련고마려(伊吉連古麻呂)가있다. 『영집해(令集解)』 승니령 「임승강조(任僧綱條)」 에 이길련자인구의(伊吉連子人口宜) 등이 보인다. 이 외에도 목간 등 기타의 자료에도 다수 확인되고 있다.
이 중에서 이기련박득(伊岐連博得)은 이길련박덕(伊吉連博德)이다. 그는 제명(齊明) 5년(659)에서 동 7년에 걸쳐 견당사의 일원으로서 파견된다. 천지(天智) 3년(664)에는 일본에 파견된 당사(唐使) 곽무종(郭務悰)을 대재부(大宰府)에서 접대하고, 천지 6년에는 웅진도독부에서 보낸 당의 사절 사마법총총(司馬法聰聡)의 송사의 임무를 맡아 귀국시켰다. 또 지통(持統) 9년(695)에는 신라에 사절로 파견되었다. 문무(文武) 4년(700)에 직광사로 승진하여 대보율령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가 남긴 기록으로 『이길박덕서(伊吉博德書)』 가 있고, 성립 연대는 천무 12년(683) 이후로 추정된다. 이 책은 이길박덕(伊吉博德)이 견당사로 파견되었을 때의 수행 기록으로 『일본서기』 백치(白雉) 5년(654) 2월조, 제명기(齊明紀) 5년(659) 2월조, 동 6년 7월조, 동 7년 8월조에 관련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선린국보기(善鄰國寶記)』 에 인용된 『해외국기(海外國記)』 에는 대을중(大乙中) 이기사박덕(伊岐史博德)이라고 인명이 나오는데, 여기에는 사성(史姓)으로 되어 있다. 연(連) 성을 갖기 이전의 성이 사(史)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이길련고마려(伊吉連古麻呂)는 견당사로 파견되었고(『속일본기』 경운 4년 5월조), 이길련택마려(伊吉連宅麻呂, 雪連宅滿)는 견신라사에 보냈다(『萬葉集』15-3644, 3688). 이길련익마려(伊吉連益麻呂)는 견고려부사(遣高麗副使, 遣渤海使)에 임명되었다(『속일본기』 天平寶字 6년 12월조). 이길련씨 중에 외교 사절이 유독 많이 배출된 것은 문자 지식에 밝은 지식인이 많고 해외 사정에 밝아 통역에 유리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당에서 온 이길련씨뿐 아니라 백제계, 신라계 등 한반도에서의 도래인 출신 관인 중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길련씨와 동족으로 생각되는 씨족으로 『속일본기』천평보자(天平寶字) 3년(759) 12월조에 일기사산수(壹岐史山守) 등 403인이 연(連) 성을 받고 있다.
2. 유가양옹(劉家揚雍)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2년(835) 9월조에는 이길사풍종(伊吉史豐宗) 및 동족 12인이 자생숙녜(滋生宿禰) 씨성을 받았고, 당인(唐人) 양옹(楊雍)의 7세손인 귀인(貴仁)의 후예라고 기록하고 있다. 상기 원문에 보이는 “이길련(伊吉連)은 장안인(長安人) 유양옹(劉揚雍)으로부터 나왔다”라는 기록에 대응한다. 여기에 나오는 이길사풍종(伊吉史豐宗)은 이길련(伊吉連)의 지족으로 생각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길련(伊吉連; 이키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