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종형군(宗形君; 무나카타노키미)

#지기(地祇)
종형군(宗形君; 무나카타노키미)
 대국주명(大國主命; 오쿠니누시노미코토)의 6세손인 오전편우명(吾田片隅命; 아타가타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종형군(宗形君)
종형(宗形; 무나카타)은 종상(宗像, 무나카타), 흉형(胸形, 무나카타)이라고도 쓴다. 종형(宗形)이라는 씨명은 축전군(筑前國) 종상군(宗像郡)이라는 지명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복강현(福岡縣) 종상군(宗像郡) 지역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에 흉방군(胸方君, 무나가타노키미)에게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하사하였다는 내용이 보이므로, 종형조신(宗形朝臣)의 원래 성은 군(君)이었음을 알 수 있다.
천평 5년 「산배국애탕군계장(山背國愛宕郡計帳)」(『대일본고문서』 1-509)에 종방군족입록(宗方君族入鹿), 종방군족제상(宗方君族弟桑), 종방군족소상(宗方君族小桑), 종방군족애매(宗方君族愛賣) 등이 보인다. 기타의 종형군씨 인명에 대해서는 우경 신별(하)「종형조신(宗形朝臣)」 조(476) 참조.
2. 대국주명(大國主命)
대물주신(大物主神)·대기귀명(大己貴命)이라고도 한다. 『일본서기』 신대(神代) 상 제8단에 “대기귀신(大己貴神)의 행혼(幸魂), 기혼(奇魂)이 일본국(日本國) 삼제산(三諸山)으로 가서 머물게 되었는데 이 신이 대삼륜신(大三輪神)이며, 그 아들이 감무군(甘茂君; 가모노키미)이라고 하였다. 대국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하) 「석변공(石邊公)」 조(417)참조.
3. 오전편우명(吾田片隅命)
오전편우명은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지기본기(地祇本紀)에 아전하전수명(阿田賀田須命, 아타가타스노미코토)으로 되어 있으며, 대기귀신(大己貴神, 혹은 大國主神)의 7세손으로 화이군(和邇君) 등의 조상이라고 하였다. 대화국(大和國) 신별(神別)의 「화인고(和仁古)」 조에서는 대국주(大國主)의 6세손인 아태하전수명(阿太賀田須命, 아타가타스노미코토)이라고 하였다. 하내국(河內國) 신별(神別)의 「종형군(宗形君)」 조에서도 대국주명(大國主命)의 6세손인 오전편우명(吾田片隅命)이라고 하였다.
오전편우명에 대해서는 우경 신별(하) 「종형조신」 조(476) 오전편우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종형군(宗形君; 무나카타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70_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