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석(大石; 오이시)

대석(大石; 오이시)
 고구숙녜(高丘宿禰; 다카오카노스쿠네)와 같은 조상이며, 광릉고목(廣陵高穆)의 후손이다.
 
【주석】
1. 대석(大石)
대석은 근강국(近江國) 율태군(栗太郡) 대석(大石)의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자하현(滋賀縣) 대진시(大津市) 대석중(大石中) 일대이다.
대석씨의 일족으로는 대석모인(大石毛人, 天平 7년 9월 18일 「經師寫紙給絁布案」, 『대일본고문서』 7-42), 대석광만려(大石廣万呂, 天平 8년 7월 1일자 「寫疏所解」, 동 2-2), 대석조마려(大石鯛麻呂, 天平 15년 7월 13일자 「中宮職利移案」, 동 8-220), 대석제상(大石諸上, 天平勝寶 2년 3월 10일자 「寫書所解」, 동 10-44), 대석아고만려(大石阿古万呂, 天平勝寶 2년 6월 「寫書所解案」, 동 11-296), 대석동인(大石東人, 天平勝寶 2년 8월 28일자 「造東大寺司解)」, 동 25-133)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서륭사 발굴 조사 출토 목간(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76, 『西隆寺發掘調査報告書』 )에도 대석상인(大石常人)이 명기되어 있다. 『만엽집』(15-3617)에도 대석곤마(大石蔉麿)가나오고, 『일본삼대실록』 인화(仁和) 원년(885) 윤3월조에도좌변관(左弁官) 사부(使部) 대석익행(大石益行)이 있다.
2. 고구숙녜(高丘宿禰)
고구숙녜에 대해서는 하내국 제번의 「고구숙녜」 조(991)에는 “백제국 공족(公族)인 대부 고후(高侯)의 후손인 광릉고목(廣陵高穆)에서 나왔다”라고 하여 출자가 백제국으로 나온다.
3. 광릉고목(廣陵高穆)
광릉(廣陵)은 한 무제 시대에 광릉국(廣陵國)을 두고 광릉현(廣陵縣)을 지배하였으며, 후한 시대에는 광릉원(廣陵國)을 광릉현(廣陵縣)으로 개편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석(大石; 오이시)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