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6) 제5생활면

제5생활면에 속하는 유구들은 제45구역의 서쪽섹터와 남쪽섹터에서만 확인되었다(도면 166).
도면 166 | 크라스키노성 제45구역 제5생활면 평면도(2011)
4호 수혈유구. 2011년에 조사되었다. 45구역 남쪽섹터의 남쪽과 남서쪽에 남쪽섹터의 거의 절반 크기로 위치한다. 이 유구의 흔적은 남쪽섹터 북서쪽 부분(데-제-7-8방안)에서 제10인공층 조사 후에 숯과 소토를 포함하는 갈색 사질토 얼룩의 형태로 확인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만 이 얼룩은 4호 수혈유구의 가장 위 북서쪽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한다(도면 161).
이 유구는 일부만 발굴구역 범위 내에 포함되어 전체가 다 조사되지는 못하였다. 남쪽섹터에 포함된 노출 길이는 8m이고, 노출 최대 너비는 4.2m 정도이다(도면 167; 168). 수혈구덩이의 깊이는 55㎝이다. 내부퇴적토에서 탄화 목재편들과 숯 등 목재구조물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또한 토기편, 동물 뼈, 조개껍데기 등이 출토되었다. 내부퇴적토에서 토제 어망추(도면 2011-180)(도면 862, 3), 형태가 복원되는 토기 호(도면 2011-225, 227, 228)(도면 782), 수제 말갈토기(도면 2011-209, 210, 214)(도면 990, 6; 958, 6; 979, 4), 철제 화살촉(도면 2011-242) 등의 유물도 발견되었다. 이 수혈구덩이의 용도는 분명하지 못하지만, 이것이 기능을 한 시기의 유물은 내부퇴적토의 아랫 부분에 위치하는 두께 약 25㎝의 갈색 사질토층에 포함되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시 말해서 그 윗부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나중에 이 수혈구덩이가 폐기되고 난 다음에 들어간 것으로 해석되었다.
도면 167 | 크라스키노성 제45구역 남쪽섹터 4호 수혈유구 모습(동쪽에서)(2011)
도면 168 | 크라스키노성 제45구역 남쪽섹터 4호 수혈유구 모습(서쪽에서)(2011)
남쪽섹터의 남서쪽 모서리 부분에는 4호 수혈유구를 파괴하면서 만들어진 9호 구덩이 있는데 이 구덩이의 바닥 부분에서 토기편, 목탄, 동물 뼈, 조개껍질 등이 발견되었다.
저장구덩이(도면 2011-256). 2011년에 조사되었다. 제45구역의 서쪽 섹터 서벽 가까이(제-이-6방안)에 위치한다. 내부퇴적토에서 다량의 홍합 껍데기가 발견되었다(도면 169). 저장구덩이의 벽에는 옹의 편들이 박혀 있었다.
도면 169 | 크라스키노성 제45구역 서쪽섹터 저장구덩이 홍합 노출 모습(2011)
2008년도 발굴조사보고서에는 제41구역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2건의 방사성탄소연대가 소개되어 있다.
- 제41구역 엔-3방안 제6인공층 레벨 -83㎝, BP1570±50, 490AD
- 제41구역 까-2방안 제6인공층 레벨 -68㎝, BP1260±60, 780AD.
2009년 발굴조사보고서에는 제41구역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3건의 방사성탄서연대가 소개되어 있는데 모두 발해 시기와는 거리가 먼 연대들이다.
- 제41구역 엔-1방안 레벨 -100, 2000±50년, 10AD
- 제41구역 엔-4방안 레벨 -112, 1910±50년, 80AD
- 제41구역 오-1방안 레벨 -115, 1660±50년, 380AD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6) 제5생활면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2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