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이곳 제51구역의 도로는 1996년에 설정한 제12구역에서 이미 확인된 바 있다. 제12구역의 남쪽 부분에서는 당시 도로 노면에 돌을 깔은 것이 확인되었지만, 이를 도로라고 인식하지 못하고 “부석유구”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이후 2011년부터 중북지역에서 조사되기 시작한 도로유구의 특징이 파악됨으로써 과거 제12구역의 “부석유구”가 도로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15년에는 과거 제12구역 및 제14구역을 일부씩 포함하는 제51구역을 새로이 설정하여 이곳에 대한 발굴조사를 재개하였다. 제14구역은 1997년에 서벽의 성벽에 대해 절개 조사가 이루어진 곳이다. 2015년에는 과거 현장보존조치를 통해 그대로 남겨 두었던 “부석유구”, 다시 말해서 도로 제1생활면의 노면을 다시 확인하였다. 2017년에는 도로 제2생활면을, 2018년에는 도로 제3생활면~제5생활면을 각각 조사하였다. 따라서 제51구역에서는 모두 5개의 도로 생활면이 확인되었다. 제51구역에서 도로 생활면들은 사찰구역 석축담장 및 성벽과의 시기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제51구역에서는 서벽의 토층에 도로 생활면들이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다(도면 552~554). 서벽 토층은 위에서 아래로 다음과 같다: 1-표토-부식토, 2-갈색 사질토, 3-다양한 크기 모래 포함 명갈색 사질토, 4-회갈색 사질토, 5-단단한 갈색 사질토, 6-다양한 크기 모래 포함 회갈색 사질토7, -갈색 사질토, 8-무른 회갈색 사질토, 9-부드러운 갈색 모래, 10-황갈색 사질토, 11-갈색 무른 사질토, 12-다양한 크기 모래 포함 갈색 사질토1, 3-암갈색 사질토, 14-다양한 크기 모래 포함 회갈색 사질토1, 5-황갈색 모래, 16-갈색 사질토, 17-석립까지의 모래 포함 회갈색 사질토, 18-암갈색 사질토, 19-철화 얼룩 포함 황갈색 사질토, 20-숯 포함 황갈색 거친 모래, 21-다양한 모래 포함 갈색 사질토, 22-연한 황갈색 거친 모래, 23-자갈 포함 짙은 회갈색 단단한 사질토, 24-펄 간층, 회색, 철화, 황색 모래 등 포함 짙은 회갈색 사질토2, 5-다양한 크기 모래 포함 부드러운 모래2, 6-회갈색 단단한 철화 사질토, 27-황갈색 부드러운 모래, 28-작은 얼룩들 및 황색 모래 간층들이 섞인 다양한 모래 포함 회갈색 사질토, 29-황갈색 부드러운 모래, 30-생토.
도면 552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서벽토층도(2018)
도면 553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서벽토층 모습(2018)
도면 554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서벽 토층과 성벽 내면 모습(2018)
도로의 생활면과 관련하여 제4층 레벨은 도로 제1생활면, 제6층 레벨(대체로 제5와 제6인공층에 해당)은 도로 제2생활면, 제9층 레벨(대체로 제8인공층에 해당)은 도로 제3생활면, 제14층과 17층 레벨(대체로 제9와 제10인공층에 해당)은 도로 제4생활면, 제18층과 제23층 레벨(대체로 제11, 제12, 제13인공층에 해당)은 도로 제5생활면과 각각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51구역의 동벽, 남벽, 북벽의 토층에 대해서는 토층도와 토층 사진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도면 555~559).
도면 555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동벽, 남벽, 북벽 토층도(2018)
도면 556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동벽 토층 모습(2018)
도면 557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남벽 토층 모습(2018)
도면 558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남벽 토층 세부 모습(2018)
도면 559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북벽 토층 모습(2018)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6. 서북지역 서부 도로구역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