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7) 교구(띠 부속품)

(1) 과대장식(띠꾸미개)
철제 띠꾸미개는 모두 29점이 확인된다. 평면모양은 방형(짧은 장방형 포함), 유사방형, 유사장방형, 원방형, 그리고 유사타원형이다 있다. 방형은 네 모서리가 모두 직각으로 꺾이는 것이고, 유사방형은 두 모서리는 직각이지만 다른 두 모서리가 약간 둥그스름하게 처리된 것이며, 유사장방형은 유사방형과 동일한 모서리 형태를 가진다. 원방형은 두 모서리는 직각이고, 다른 두 모서리는 크게 호선을 그려 원의 일부인 것처럼 표현된 것이다. 유사타원형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모양을 가지지만 한 변이 직선인 것이다. 모가 난 모서리가 없다.
방형 띠꾸미개는 14점이 확인되었다. 그중 2점은 띠꾸미개의 받침판인데 주연부 안의 네 모서리에 각각 1개씩의 “못”이 있는 것(도면 2010-86)(도면 718, 1)과 못이 한 개만 남고 나머지는 결실된 것(도면 1988-84)(도면 718, 2)이 각각 있다. 2점은 띠꾸미개의 윗부분과 받침판이 함께 있는 것이다(도면 2006-54, 4; 2014-36)(도면 718, 3, 4). 그중 1점은 크기가 높이 1.8㎝, 너비 2.6㎝, 두께 0.4~0.5㎝, 투공크기 1.3×0.5㎝이다. 투공은 장방형이다(도면 2014-36)(도면 718, 4). 나머지 10점에서는 띠꾸미개의 아래 부분 투공 모양이 3종류가 확인된다. 첫 번째는 투공이 세장방형으로 된 것으로서 5점이 있다(도면 2001-150, 2; 2011-424, 2; 2006-170, 2; 1995-17, 5; 1994-64, 1)(도면 718, 5~9). 다음은 아래 부분이 결실되기는 하였으나 투공이 장방형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 1점 있다(도면 2014-207)(도면 718, 10). 2점은 투공이 길쭉한 타원형이다(도면 2001-150, 1; 2002-39)(도면 718, 11, 12). 녹이 슬어 투공의 형태가 분명하지 못한 것이 2점 있는데 그중 1점은 길쭉한 타원형이었을 것으로(도면 2006-170, 1)(도면 718, 13), 다른 1점은 세장방형이었을 것으로 각각 생각된다(도면 2011-425, 2)(도면 718, 12).
도면 718 | 크라스키노성 출토 철제 방형 띠꾸미개(1~14), 유사방형 띠꾸미개(15~17): 1-제44구역(2010), 2, 9-제9구역(1994), 3-제35구역(2006), 4, 10-제44구역(2014), 5- 제25구역(2001), 6-제48구역(2011), 7, 13-제34구역(2006), 8-제11구역(1995), 11-제16구역(2001), 12, 15-제30구역 (2002), 14-제48구역(2011), 16-제11구역(1996), 17-제31구역(2003)
유사방형 띠꾸미개는 4점이 확인되었다. 뒷면의 주연부 안쪽에 “못”이 2개 표현된 것이 있는데 1점은 투공이 보이지 않는다(도면 2002-34)(도면 718, 15). “못”이 2개 표현된 다른 1점은 투공이 길쭉한 타원형이다(도면 1996- 17, 2)(도면 718, 16). 주연부 안쪽에 “못”이 3개 표현된 것도 있는데 투공이 장방형이다(도면 2003-68, 2)(도면 718, 17). 나머지 1점은 “못”이 2개인지 3인지 분명하지 못하고 투공은 없다(도면 1994-113, 1)(도면 719, 1).
도면 719 | 크라스키노성 출토 유사방형 띠꾸미개(1), 유사장방형 띠꾸미개(2), 원방형 띠꾸미개(3~9), 유사타원형 띠꾸미개(10): 1-제10구역(1994), 2-제31구역(2003), 3 -제53구역(2018), 4 -제16구역(2001), 5~7 -제44구역(2010), 8-제48구역(2011), 9-제51구역(2017), 10 -제17구역(2001)
유사장방형 띠꾸미개는 1점이 확인되었다. 주연부 안쪽의 한쪽 모서리에 “못” 구멍이 1개 있고, 나머지 모서리 안쪽에는 분명하지 못하다. 크기는 길이 7.6㎝, 너비 4.8㎝이다(도면 2003-68, 1)(도면 719, 2).
원방형 띠꾸미개는 7점이 확인된다. 그중 1점은 투공이 장방형이다(2018-463)(도면 719, 3). 1점은 투공이 길쭉한 타원형이고 그리고 3개의 “못”이 있다(도면 2001-150, 4)(도면 719, 4). 나머지 5점은 녹이 심하게 슬어 “못”이 잘 관찰되지 않지만 아마도 3개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도면 2010-28, 82, 84; 2011-370, 2; 2017-220)(도면 719, 5~9).
유사타원형 띠꾸미개는 1점이 확인되었다. 길쭉한 타원형의 투공만 확인되고 나머지 세부 요소는 알 수 없다(도면 2001-150, 3)(도면 719, 10).
(2) 버클
형태가 온전한 것은 1점이 확인되었다. 2005년에 제34구역의 1호 주거지에 출토되었다. 말각 장방형의 고리와 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는 4.7㎝, 너비는 3.7㎝이다(도면 720, 1).
도면 720 | 크라스키노성 출토 철제 버클(1), 버클 고리(2~8), 버클 혀(9): 1-제34구역(2005), 2~4-제47구역(2014), 5~7- 제51구역(2017), 8-제53구역, 9-제49구역(2014)
그런데 일부가 결실되기는 하였어도 전체적으로 평면이 타원에 가까운 철제 고리들이 8점 발견된 것이 있는데 버클의 앞쪽 고리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도면 720, 2~8). 이 형태의 고리들은 한쪽이 약간 폭이 넓고 다른 한쪽은 폭이 약간 좁다. 그중의 1점은 고리의 가장 앞쪽은 폭이 0.9㎝이고, 크기는 4.4×2.7㎝이며, 두께는 0.2㎝이다(도면 2014-822, 2)(도면 720, 3).
버클의 “침”도 1점이 출토된 것이 있다. 한쪽 끝부분은 버클의 고리 뒤쪽 가장자리에 매달릴 수 있게 고리 모양으로 말았고, 다른 한쪽 끝부분은 버클의 앞쪽 고리에 걸칠 수 있게 약간 구부려 놓았다. 길이는 3.2㎝이다(도면 2014-823, 1)(도면 720, 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7) 교구(띠 부속품)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05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