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3) 도로 제3생활면

2018년에 제7인공층 제거 후 제8인공층 상면에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에서 중간 및 작은 크기의 돌들, 와편들, 토기편들, 동물의 뼈들과 이빨들로 된 도로의 흔적이 확인되었다(도면 2018-87~92)(도면 569; 570; 571). 제3생활면 도로는 방향이 동서 방향으로서 2015년과 2017년에 조사를 한 위 생활면 도로들과 동일한 방향이었다. 사찰구역을 구분하는 석축담장은 이 레벨에서 축조되었다. 제53구역 북벽 토층을 보면 갈색 사질토층과 그 아래의 갈색 부드러운 모래층이 관찰되는데 그 위에 사찰의 석축담장이 축조되어 있(다도면 2018-66; 68). 제3생활면 도로 노면은 중앙부분과 남서쪽 부분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 이곳에 건축폐기물 (주로 와편들)과 생활 폐기물(토기편, 동물 뼈, 목탄, 석탄, 드물게는 철제 및 주철제 유물편)이 집중되어 있다. 제53구역 남서쪽 모서리 부분의 도로 너비는 약 2.5m이다.
도면 569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8인공층 상면 도로 제3생활면 평면도(2018)
도면 570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8인공층 상면 도로 제3생활면 모습(서쪽에서)(2018)
도면 571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8인공층 상면 도로 제3생활면 모습(위에서)(2018)
제7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토제 유물편(도면 2018-98~100)(도면 667, 5), 토제 고리편(도면 2018-101~102), 와당편들(도면 2018-103~110)(도면 648, 1), 토제 장식편들(도면 2018-111~116), 철제 화살촉편(도면 2018-117; 118), 철제 축들(도면 2018-119~124), 철사 쪼가리(도면 2018-125; 126), 철제 테고리편(도면 2018-127; 128), 철제 부정형 유물편, 69점의 놀이 알 등이 출토되었다.
제8인공층을 제거할 때의 레벨에서는 도로의 방향이 북동-남서 방향이었다(도면 2018-143; 144). 이 사실은 도로와 관련된 회갈색 사질토층, 명회갈색 사질토 띠, 황갈색의 점토 띠, 암회갈색 점토 띠 등의 방향으로 통해 알 수 있다. 이 레벨에서의 도로의 평균 너비는 약4 m이다. 이 레벨에서 도로의 내부퇴적토는 큰, 중간 및 작은 크기의 돌들, 와편들, 토기편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 슬래그들, 부정형의 철편들, 숯들, 소토들 등으로 이루어져 있(도다면 2018-146; 147).
제8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1개체에 해당하는 와당편 4점(도면 2018-148~150)(도면 645, 4), 토제 장식편(도면 2018-151), 와당편들(도면 2018-152; 153; 157~160), 청동 판상 유물편(도면 2018-154; 155), 토제 치미편 2점(도면 2018-156), 철제 구슬(도면 2018-161), 철제 유물편(도면 2018-162), 놀이 알 49점 등이 출토되었다. 와편과 토기편도 다수 발견되었다(도면 2018-164~174).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도로 제3생활면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6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