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소아대신도목숙녜(蘇我大臣稻目宿禰) 등을 보내 왜국, 기국에 둔창을 둠

겨울 10월에 소아대신도목숙녜 등을 왜국(倭國)의 고시군(高市郡)에 보내어 한인대신협둔창(韓人大身狹屯倉;카라히토노오호무사노미야케)주 001
번역주 001)
身狹은 옛 高市郡의 한 지역으로 현재 奈良縣 橿原市 畝傍山 남동쪽 일대로 비정된다.
닫기
[여기에서 한인이란 백제를 이른다.], 고려인소신협둔창(高麗人小身狹屯倉;코마비토노워무사노미야케)을 두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국(紀國;키노쿠니)에 해부둔창(海部屯倉;아마노미야케)주 002
번역주 002)
紀伊國 북서부의 海部郡(현재 和歌山市 서부와 海草郡 下津町 지역)에 있던 屯倉을 가리킨다.
닫기
을 두도록 하였다[어떤 책(一本)에서는 “각지의 한인을 대신협둔창의 전부(田部;타베)주 003
번역주 003)
대화정권이 직접 지배한 인민 가운데 둔창에서 경작을 하던 부민을 말한다. 일본 古墳時代에 성립된 토지나 인민 지배제도의 하나이다.
닫기
로 삼았다. 고려인을 소신협둔창의 전부로 삼았다. 한인, 고려인을 전부로 삼은 것을 가지고 둔창의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번역주 001)
    身狹은 옛 高市郡의 한 지역으로 현재 奈良縣 橿原市 畝傍山 남동쪽 일대로 비정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紀伊國 북서부의 海部郡(현재 和歌山市 서부와 海草郡 下津町 지역)에 있던 屯倉을 가리킨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대화정권이 직접 지배한 인민 가운데 둔창에서 경작을 하던 부민을 말한다. 일본 古墳時代에 성립된 토지나 인민 지배제도의 하나이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소아대신도목숙녜
지명
고시군(高市郡), 기국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아대신도목숙녜(蘇我大臣稻目宿禰) 등을 보내 왜국, 기국에 둔창을 둠 자료번호 : ns.k_0032_018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