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갈원부(葛原部; 구즈하라베)

갈원부(葛原部; 구즈하라베)
 좌대공(佐代公; 사테노키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3세손 대어제별명(大御諸別命)의 후손이다. 『일본기』에는 누락되어 있다.
 
【주석】
1. 갈원부(葛原部)
갈원부라는 씨명은 구수파량부(久須波良部)라고도 하며 의통랑희(衣通郞姬)의 명대부인 등원부(藤原部)의 반조씨족 혹은 그 부민에서 유래한다. 갈원부의 옛 씨명이 등원부이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원년(757) 3월 을해조에는 등원부가 구수파량부로 개칭하고 있다. 등원부가 구수파량부로 개칭된 것은 등원겸족(藤原鎌足) 및 등원불비등(藤原不比等)의 씨명을 칭하는 것을 금지한 등원중마려(藤原仲麻呂)의 시책과 관련이 깊다.
갈원부씨 일족으로는 천평 11년 4월 10일자 「경사수실장(經師手實帳)」(『대일본고문서』 7-249)의 등원부내족(藤原部內足)이 있다. 등원부내족은 갈원부내족(葛原部內足)으로도 쓴다(천평 11년 4월 15일자 「사경사계(寫經司啓)」, 『대일본고문서』 2-163). 다만 갈원부씨에는 여러 계통이 있으므로 갈원부내족을 본조 갈원부씨의 일족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등원부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윤공 11년 3월 병오조에 설치 기사가 있고, 동 천무 12년 9월 정미조에 등원부조에 연(連)을 사성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2. 좌대공(佐代公)
좌대공에 대해서는 화천국 황별 「좌대공」 조(323) 참조.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나오는 제10대 숭신천황의 황자이다. 『고사기』에는 풍목입일자명(豐木入日子命), 『일본서기』에는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으로 나온다.
4. 대어제별명(大御諸別命)
『일본서기』 경행 56년 8월조에는 동국(東國) 지방의 하이를 정벌하여 다스린 어제별왕(御諸別王)으로 나온다. 화천국 황별의 「진현주(珍縣主)」 조(324)에는 ‘풍성입언명삼세손어제별명(豐城入彦命三世孫御諸別命)’이라고 나온다. 대어제별명에 대해서는 섭진국 황별 「한시전부(韓矢田部)」 조(255) 참조.
5. 일본기루(日本紀漏)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갈원부(葛原部)의 사성 관련 기록이 있는데 『일본서기』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일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갈원부(葛原部; 구즈하라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