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원공(榛原公; 하리하라노키미)

진원공(榛原公; 하리하라노키미)
 식장진인(息長眞人; 오키나가노마히토)과 조상이 같으며, 대산수명(大山守命; 오야마모리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진원공(榛原公)
진원(蓁原; 하리하라)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시대의 원강국(遠江國) 진원군(蓁原郡) 진원향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정강현(靜岡縣) 진원군(榛原郡) 진원정 일대이다. 진원공씨 일족으로는 『정창원성어장고경목록(正倉院聖語藏古經目錄)』 의 진원공리인(蓁原公里人)과 『유취국사』 권99의 서위(敍位) 천장 9년(832) 7월 무오조에 진원공고안(蓁原公高按)이라는 인물이 보인다.
2. 식장진인(息長眞人)
식장(息長)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시대의 근강국(近江國) 판전군(坂田郡) 식장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지금의 자하현(滋賀縣) 판전군(坂田郡) 식장촌(息長村)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0월 기묘삭조에 식장공(息長公) 등 13씨가 진인을 사성받았다고 적고 있듯이 식장진인의 옛 성(姓)은 공(公)이었다. 『일본서기』 지통천황 6년(692)11월 무술조와 7년 3월 을사조에는 직광사(直廣肆) 식장진인로(息長眞人老)가 신라에 파견되는 사신으로서 물품을 사여받고 있다. 식장진인로는 지통조(持統朝)부터 원명조(元眀朝)에 걸쳐 우대변(右大辯), 병부경(兵部卿), 우경대부(右京大夫)를 역임하였다. 이후 식장진인씨 일족의 활약상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다만 고문서에 그 이름이 보이는데 이들은 주로 하위 관료였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 「식장진인」 조(001) 참조.
3. 대산수명(大山守命)
『고사기』 응신천황단에는 응신의 아들로 나오며 그 후손으로 토형군(土形君), 폐기군(幣岐君), 진원군(榛原君)이 있다. 한편 『일본서기』 응신 2년 3월 임자조에는 대산수황자로 나오며, 그 후손으로 토형군과 진원군 두 씨족만 거론하고 있다. 『선대구사본기』 신황본기의 응신천황조에도 『일본서기』와 같이 토형군과 진원군 두 씨족의 조상으로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하) 「일치조신」 조(182)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원공(榛原公; 하리하라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