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조련(高篠連; 다카시노무라지)

고조련(高篠連; 다카시노무라지)
경행천황(景行天皇; 게이카우텐노)의 황자 오백목입언명(五百木入彦命; 이호키노이리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고조련(高篠連)
고조(高篠; 다카시)라는 씨명은 율령제 찬기국(讚岐國)의 나가군(那珂郡) 고조(高蓧)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곳은 향천현(香川縣)의 중다도군(仲多度郡) 만농정(滿濃町) 고조 일대이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784) 8월 무오조에는 좌소사(左少史) 정6위상 의지수광랑(衣枳首廣浪) 등에게 고조련(高篠連)이라는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고조련 일족으로는 고조련으로 개성한 의지수광랑 이외에 『유취부선초(類聚符宣抄)』권6에 수록된 천경(天慶) 6년(734) 8월 10일자 「대납언우대장등원경선(大納言右大將藤原卿宣)」에 고조청음(高篠淸陰)이라는 이름이 보인다. 『평안유문(平安遺文)』(1-1)에 수록된 연력 2년(902) 6월 17일자 「태정관첩(太政官牒)」 에는 ‘정6위상 행좌소사 의지수광랑첩(正六位上行左少史衣枳首廣浪牒)’이라 적혀 있다.
2. 경행천황(景行天皇)
경행천황은 『일본서기』에 제12대 천황이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존 여부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수인(垂仁) 17년에 태어나 경행천황 60년(130)에 사망하였다고 한다. 아버지는 수인이고 어머니는 일엽초원명(日葉酢媛命)이며, 황후는 파마도일대랑희(播磨稻日大郞姬)와 팔판입원명(八坂入媛命) 외에 8명의 비(妃)가 더 있었다고 적혀 있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완본에는 ‘경행’ 앞에 ‘대족언인대별천황시(大足彦忍代別天皇諡)’라는 9글자가 있고, ‘경행’ 다음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경행천황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상) 「고교조신(高橋朝臣)」 조(057) 경행천황 참조.
3. 오백목입언명(五百木入彦命)
경행천황의 황자이다. 『일본서기』 경행 4년 2월 갑자조에는 오백성입언황자(五百城入彦皇子; 이호키이리비코노미코), 『고사기』 경행천황단에는 오백목지입일자명(五百木之入日子命; 이오키노이리히코노미코토)이라고 적혀 있다. 또 『고사기』 응신천황단에는 제일매명(弟日賣命; 오토히메노미코토)의 분주에 “품타약왕(品陀若王; 호무다노마와카노미코)은 오백목지입일자명(五百木之入日子命; 이호키노이리비코노미코토)이 미장련(尾張連; 오하리노무라지)의 선조 건이나타숙녜(建伊那陀宿禰; 다케이나다노스쿠네)의 딸 지리도기두매(志理都紀斗賣; 시리츠키토메)를 얻어서 낳은 자식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오백목지입일자명의 아들로 품타진약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784) 8월 무오조에 좌소사(左少史) 정6위상 의지수광랑(衣枳首廣浪) 등에게 고조련(高篠連)이라는 성을 주었다는 사성 기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조련(高篠連; 다카시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