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5) 석제 기타 유물

막대기모양 유물. 2점이 확인된다. 그중의 1점은 1994년에 제9구역의 전각지에서 출토되었다. 편마암으로 만들었고 작은 막대기 모양을 하고 있다. 단면은 방형이다. 양쪽이 모두 결실되었다. 크기는 잔존 길이 5.5㎝, 너비 0.6㎝, 두께 0.5㎝이다(도면 1994-95)(도면 680, 1). 다른 1점은 2008년에 제40구역에서 출토되었다. 양쪽이 모두 결실되었다. 단면은 대추모양이다(도면 2008-355)(도면 680, 2).
도면 680 | 크라스키노성 출토 석제 막대기모양 유물(1, 2), 수정 육면체 유물(3), 구멍이 있는 석제유물(4), 석제 원판형 유물(5); 1~3- 제9구역 전각지(1994), 4-제48구역(2016), 5-제50구역(2015)
수정 육면체 유물. 석영으로 만들었다. 면이 6개인 육면체이며, 한쪽 끝부분은 육각추 모양으로 마무리된다. 다른 쪽은 결실되었다. 크기는 잔존 길이 3.4㎝, 너비 1.7㎝, 두께 1.7㎝이다(도면 1994-96)(도면 680, 3).
구멍이 있는 석제 유물. 2016년에 제48구역의 동쪽 섹터에서 출토되었다. 납작한 편 상태인데 한쪽 가장자리에 구멍의 흔적이 절반 정도 남아 있다. ‘상호교차하는 구멍들이 있는 유물’일 수도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분명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그 유물은 대개 토제품이기 때문이다. 이 유물의 잔존 크기는 길이 4.4㎝, 너비 3.4㎝, 두께 1.3㎝, 구멍 직경 1.9㎝이다(도면 2016-220)(도면 680, 4).
석제 원판형 유물. 2015에 제50구역에서 2점이 출토되었다. 1점은 사암으로 만들었는데 가장자리를 약간 다듬었다(도면 2015-806)(도면 680, 5). 이 유물은 크기가 13.0×11.0㎝, 두께가 2.9㎝이다. 다른 원판형 유물 1점은 가공의 흔적이 미약하게 확인된다. 이 유물은 크기가 9.5×9.2㎝이고, 두께는 0.5㎝이다.
악기 공. 2009년에 제40구역의 9호 주거지에서 출토되었다(도면 389~391)(도면 681, 1). 악기인 ‘공’과 흡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회갈색의 사암으로 만들었고, 편평하게 마연되었다. 한쪽이 부러져 나갔는데 잔존 형태는 장방형에 가깝다. 악기 공을 매달기 위한 구멍은 남아 있지 않았다. 크기는 잔존 길이 14㎝, 너비 22㎝, 두께 1.1㎝이다.
도면 681 | 크라스키노성 출토 추정 악기 공(1)과 추정 초석(2): 1, 2-제40구역(2009)
추정 초석. 2009년에 제40구역의 옹 안에서 발견되었다(도면 2009-188, 189)(도면 681, 2). 사암제이다. 평면 모양이 삼각형에 가까우며, 크기는 15.5×12.2㎝, 두께는 5.7㎝이다. 불을 맞아서 색깔이 암회색과 흑색이다. 사진과 도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양쪽 면에 작은 구멍들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문을 연결하는 부분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5) 석제 기타 유물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04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