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노상선우가 한나라 종실의 딸을 연지로 삼았는데 이떄 호위하며 함께 온 중항열(中行說)이 흉노에 항복함

  • 국가
    흉노(匈奴)
노상계육선우(老上稽粥單于) 주 001
각주 001)
老上稽粥單于(재위 전174 ~ 전161) : 匈奴의 제3대 單于로 老上單于라고도 불린다. 이름이 稽粥이다. 匈奴의 융성을 이룩한 冒頓單于의 아들로 전174년 아버지가 죽자 즉위하였다. 漢나라 宗室의 딸을 아내로 맞고 漢나라에서 항복해 온 中行說을 고문으로 삼았다. 中行說은 匈奴의 세력 신장에 주력하여 문서 작성, 국가의 재정제도 등을 정비하였다. 이후 月氏를 공격하여 일리 지방으로 쫓아내고, 죽인 月氏王의 두개골을 술잔으로 쓰는 등 그들에게 타격을 가하였다. 전166년에는 漢나라 깊숙이 쳐들어갔고, 해마다 침공을 거듭하였다. 漢 文帝는 종래의 조약 외에, 匈奴에게 해마다 공물을 보낼 것을 내용으로 하는 和議를 다시 맺어 무마시키고자 했다.
닫기
가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효문제가 다시 종실의 여자를 공주주 002
각주 002)
宗室의 여자는 ‘翁主’라고 해야 하는데 “公主”로 되어 있다. 이것은 匈奴에 시집갈 때 그녀가 公主로 책봉되었기 때문이다. 『漢書』에는 “宗人女翁主”로 되어 있다.
닫기
라 하여 선우에게 보내 연지로 삼게 했는데, 연나라 출신의 환관 중항열(中行說) 주 003
각주 003)
中行說 : 음은 ‘중항열’이다. 사람 이름으로 中行이 성이고 說이 이름이다.
닫기
을 공주의 호위[傅]로 삼았다. 중항열이 가려고 하지 않자 한나라에서 억지로 [가게] 만들었다. [그러자] 중항열이 말하였다. “기필코 나를 가게 한다면주 004
각주 004)
『漢書』에는 “必我也.”로 “行”이 없다.
닫기
한나라에 화가 될 것이다.” [그리고] 중항열이 [흉노 땅에] 도착하자마자 선우에게 투항하니 선우가 [그를] 몹시 친근하게 아꼈다.주 005
각주 005)
『漢書』에는 “單于愛幸之”로 되어 있다.
닫기


  • 각주 001)
    老上稽粥單于(재위 전174 ~ 전161) : 匈奴의 제3대 單于로 老上單于라고도 불린다. 이름이 稽粥이다. 匈奴의 융성을 이룩한 冒頓單于의 아들로 전174년 아버지가 죽자 즉위하였다. 漢나라 宗室의 딸을 아내로 맞고 漢나라에서 항복해 온 中行說을 고문으로 삼았다. 中行說은 匈奴의 세력 신장에 주력하여 문서 작성, 국가의 재정제도 등을 정비하였다. 이후 月氏를 공격하여 일리 지방으로 쫓아내고, 죽인 月氏王의 두개골을 술잔으로 쓰는 등 그들에게 타격을 가하였다. 전166년에는 漢나라 깊숙이 쳐들어갔고, 해마다 침공을 거듭하였다. 漢 文帝는 종래의 조약 외에, 匈奴에게 해마다 공물을 보낼 것을 내용으로 하는 和議를 다시 맺어 무마시키고자 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宗室의 여자는 ‘翁主’라고 해야 하는데 “公主”로 되어 있다. 이것은 匈奴에 시집갈 때 그녀가 公主로 책봉되었기 때문이다. 『漢書』에는 “宗人女翁主”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中行說 : 음은 ‘중항열’이다. 사람 이름으로 中行이 성이고 說이 이름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漢書』에는 “必我也.”로 “行”이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5)
    『漢書』에는 “單于愛幸之”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노상계육선우(老上稽粥單于), 효문제, 중항열(中行說), 중항열, 중항열, 중항열
지명
연나라, 한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노상선우가 한나라 종실의 딸을 연지로 삼았는데 이떄 호위하며 함께 온 중항열(中行說)이 흉노에 항복함 자료번호 : jo.k_0001_0110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