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복부련(服部連; 하토리노무라지)

복부련(服部連; 하토리노무라지)
 천어중주명(天御中主命; 아메노미나카누시노미코토)의 11세손 천어모명(天御桙命; 아메노미호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복부련(服部連)
복부련이라는 씨명은 베 짜는 것을 직장으로 한 복부의 반조씨족이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 에는 복부씨가 연성을 받은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섭진국(攝津國)과 하내국(河內國) 신별에도 복부련씨가 게재되어 있다.
복부는 전국에 설치된 것이므로 복부씨는 전국에 분포한다. 『속일본기』 문무천황(文武天皇) 2년(698) 9월 무오삭조에 진광사(進廣肆) 복부련자사(服部連佐射)를 씨상(氏上)으로, 무관(無冠) 복부련공자(服部連功子)를 씨조(氏助)로 삼았다는 기록에 보이는 복부련자사와 공자를 들 수 있다. 다만 섭진국과 하내국 신별에도 복부련씨가 수록되어 있어 대화국인이라 확정하기 어렵다. 섭진국 「복부련(服部連)」 조에는 “한지속일명(熯之速日命)의 12세손 마라숙녜(麻羅宿禰)의 후손이며, 윤공천황(允恭天皇) 때 직부사(織部司)에 임명되어 전국의 직부를 총괄하였으므로 복부련이라 칭했다”라고 적혀 있다. 하내국 신별의 「복부련(服部連)」 조에도 한지속일명(熯之速日命)의 후손이라 전하므로 섭진국과 동조(同祖)관계를 칭한 것을 알 수 있다.
2. 천어중주명(天御中主命)
천어중주명은 『일본서기』 에서는 천어중주존(天御中主尊; 아메노미나카누시노미코토), 『고사기(古事記)』 에서는 천지어중주신(天之御中主神;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 『고어습유(古語拾遺)』 에서는 천어중주신(天御中主神),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에서는 천어중주존(天御中主尊), 『이세국풍토기(伊勢國風土記)』일문(逸文)에서는 천어중주존(天御中主尊)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사기』 첫머리에는 천(天)의 중앙에 있는 주신(主神), 여러 신들 중 최고의 신으로 위치 지어 있지만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에도 신명이나 신사명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신은 예부터 신앙된 신이 아니라, 『일본서기』 와 『고사기』 신화를 만들 때 3, 5, 7이라는 중국적인 정수 관념에 기초하여 만물 생성의 신인 고황산령신(高皇産靈神)과 신산소일신에 더해 3으로 숫자를 맞추어 정비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이라 간주된다. 무스비(무스히)라는 말은 산령(産靈), 즉 생산과 창조의 힘을 뜻하며, 고황산령신(高皇産靈神)과 신산소일신과 더불어 창조와 생성의 능력을 신격화한 것이다.
3. 천어모명(天御桙命)
천을 짜는 일을 담당한 남자 신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복부련(服部連; 하토리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5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