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좌백조(佐伯造; 사헤키노미야츠코)

좌백조(佐伯造; 사헤키노미야츠코)
 천뢰신(天雷神; 아메이카즈치노카미)의 손자인 천압인명(天押人命; 아메오시히토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좌백조(佐伯造)
좌백조라는 씨성은 좌백부(佐伯部)의 반조씨족(伴造氏族)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중앙의 좌백련(佐伯連)의 통솔 아래 지방에서 좌백직(佐伯直)과 함께 좌백부(佐伯部)를 관할하는 씨족이었다. 경행천황(景行天皇) 때 일본무존(日本武尊)이 본주(本州)의 동쪽 지역을 정벌할 때 모인(毛人)·하이(蝦夷)라고 불리는 종족을 포로로 잡아와서 파마(播磨)·찬기(讚岐)·이예(伊豫)·안예(安藝)·아파(阿波)에 나누어 살게 하였는데 이들을 좌백(佐伯; 사헤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어원으로 ‘부르짖다(叫; 사케부)’, ‘장애가 되다(障; 사헤기루)’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큰소리를 질러 악한 기운을 물리치거나 상대를 위협하는 주술적인 의례에 종사하는 집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일본서기』 인현천황(仁賢天皇) 5년 2월에 좌백부중자(佐伯部中子)의 후손으로 좌백조를 삼았다는 기사가 보이고, 민달(敏達) 14년(585) 3월 병술조에 불교를 배척할 때 소아마자(蘇我馬子)가 바친 선신니(善信尼) 등의 비구니를 소환하는 일을 맡은 좌백조어실(佐伯造御室)이 보인다. 좌백부중자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 「좌백직」 조(168) 참조.
목간에도 좌백조정월(佐伯造正月)이 보인다(『飛鳥藤原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2-1509, 2002).
2. 천뢰신(天雷神)
이 신의 이름은 여기에만 보인다. 손자인 천압인명(天押人命)이 천인인명(天忍人命)과 동일하다면, 천뢰신은 진혼명(振魂命)에 해당한다. 진혼명은 해신인 면적풍옥언명(綿積豐玉彦命; 와타츠미토요타마노미코토)의 아들이다. 면적풍옥언명은 신무천황(神武天皇)을 낳은 옥의원명(玉依媛命)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3. 천압인명(天押人命)
천인인명(天忍人命; 아메오시히토노미코토)과 동일한 신으로 생각된다. 『일본서기』 의 시변압우황자(市邊押羽皇子; 이치노헤노오시하노미코)를 『고사기』 에서는 시변지인치왕(市邊之忍齒王; 이치노헤노오시하노미코)이라고 하여 압(押)과 인(忍)이 통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두 글자 모두 일본어로 ‘오시’라고 읽는다. 천인인명은 미장씨(尾張氏), 해부씨(海部氏), 소수씨(掃守氏)의 조상이라고 한다. 좌경 신별 「소수련(掃守連)」 조 등에서 동일하게 천인인명이 진혼명(振魂命)의 4세손이라고 하였으므로, 천인인명과 천압인명이 같은 신이라면 천뢰신은 진혼명의 손자에 해당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좌백조(佐伯造; 사헤키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