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택수(大宅首; 오야케노오비토)

대택수(大宅首; 오야케노오비토)
 대폐소저명(大閇蘇杵命; 오헤소키노미코토)의 손자 건신천명(建新川命; 다케니히카하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대택수(大宅首)
대택(大宅)이라는 씨명을 사용한 씨족으로는 대택신(大宅臣)과 대택조신(大宅朝臣)이 있다. 대택신으로는 추고천황(推古天皇) 대에 활약한 대택대국(大宅大國)이 있다. 대택씨는 화이씨(和珥氏)와 동족이며 대화국(大和國) 첨상군(添上郡) 지무향(志茂鄕)을 본거지로 하였다. 지무향은 후에 대택향(大宅鄕)이 되었는데, 대택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후자는 「대택조신하시만려노비견래장(大宅朝臣賀是萬呂奴婢見來帳)」(東大寺藥師院文書, 早稻田大學圖書館 소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택조신하시만려가 있다. 천평(天平) 13년(741)에 그의 아버지 대택족인(大宅足人)은 하시만려의 호적에 편제되었으며, 천평승보(天平勝寶) 원년(749)에는 60명의 노비를 동대사(東大寺)에 기진하였다. 대택조신은 원래 대택신(大宅臣)이었는데, 천무(天武) 13년(684)에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 다만 대택수와 대택조신의 관련성은 분명하지 않다.
대택수 일족으로는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8년(866) 8월 3일 기해조에 좌경인(左京人) 비중(備中) 권사생(權史生) 대초위하(大初位下) 대택수응취(大宅首鷹取)가 응천문(應天門) 방화 사건을 고변하였다는 기사가 보인다. 그 밖에도 고문서 등에 대택수동자(大宅首童子), 대택소만려(大宅小萬呂), 대택수좌파(大宅首佐波)가 보인다. 목간 자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2. 대폐소저명(大閇蘇杵命)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天孫本紀)」 에는 대종저명(大綜杵命)으로 보이며, 우마지마치명(宇摩志麻治命)의 5세손이고 대시구숙녜명(大矢口宿禰命)과 판호유량도희(坂戸由良都姬)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효원천황(孝元天皇) 때 대녜(大禰)가, 개화천황(開化天皇) 때 대신(大臣)이 되었고, 고옥아파량희(高屋阿波良姬)와 혼인하여 이향색미명(伊香色謎命, 개화천황의 황후)과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을 낳았다고 하였다.
3. 건신천명(建新川命)
대신하명(大新河命)이라고도 표기하며, 신하대련(新河大連), 장곡치시련(長谷置始連), 고교련(高橋連), 시전부(矢田部)의 시조로 전한다.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 에서는 우마지마치명(宇摩志麻治命)의 7세손이고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의 아들이라고 하였다. 수인천황(垂仁天皇) 때 대신(大臣)이 되었으며, 다시 물부련(物部連)이라는 성을 받아 대련(大連)이 되었다고 하였다. 기이(紀伊)의 황천호비(荒川戸俾)의 딸 중일녀(中日女)와 혼인하여 무제우련(武諸隅連), 대소시련(大小市連), 대소목련(大小木連), 대모우련(大母隅連)을 낳았다고 하였다. 「천황본기(天皇本紀)」 에서도 수인 23년 8월에 대신에 임명되었고 물부련(物部連)이라는 성을 받고 대련(大連)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름의 신하(新河)에 대하여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의 근강국(近江國) 야주군(野洲郡)에 있는 하신천신사(下新川神社)·상신천신사(上新川神社)를 근거로 근강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설, 대화국(大和國) 십시군(十市郡)에 신천촌(新川村)이 있었던 점에서 대화국과 연관시켜 보는 설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택수(大宅首; 오야케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