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석변공(石邊公; 이소베노키미)

석변공(石邊公; 이소베노키미)
 대국주명(大國主命; 오쿠니누시노미코토)[어떤 고기(古記)에서는 대물주명(大物主命; 오모노누시노미코토)라고 적고 있다.]의 아들 구사비하다명(久斯比賀多命; 구시히가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석변공(石邊公)
석변공씨 일족은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석변(石邊; 이소베)은 『연희식』 신명장(神名帳)에 근강국(近江國) 애지군(愛智郡)에 석부(石部; 이소베)신사가 보여 석변공씨는 이 지역을 근거지로 하던 씨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2. 대국주명(大國主命)
『고사기』수좌지남명(須佐之男命; 스사노오노미코토) 대사퇴치단(大蛇退治段)에 의하면 대국주명(大國主命; 오쿠니누시노미코토)은 수좌지남명(須佐之男命; 스사노오노미코토)의 6세손이다. 『일본서기』 신대 상 제8단 일서(一書) 제1에서는 소잔명존(素戔鳴尊; 스사노오노미코토)의 6세손이 대국주존(大國主尊; 오쿠니누시노미코토)이라고 적고 있다. 『속록대신원기(粟鹿大神元記)』 에서는 소좌내호명(素佐乃乎命; 스사노호노미코토)의 6세손이 대국주신(大國主神; 오쿠니누시노카미)이라고 적고 있다.
3. 대물주명(大物主命)
본조에서는 어떤 고기(古記)에서는 대국주명(大國主命; 오쿠니누시노미코토)을 대물주명(大物主命; 오모노누시노미코토)이라고도 부른다고 하였는데, 『일본서기』 신대 상 제8단의 일서(一書) 제6에서도 “대국주신(大國主神; 오쿠니누시노카미)의 다른 이름을 대물주신(大物主神; 오모노누시노카미)이라고도 한다. 또 위원추남(葦原醜男), 팔천과신(八千戈神), 대국옥신(大國玉神), 현국옥신(顯國玉神)이라고도 한다. 그 자식은 모두 181신(神)이다.”라고 적고 있어 대국주신의 다른 이름으로 대물주신을 비롯한 6신의 이름을 열거하였다.
『고사기』 에는 대국주신(大國主神)은 보이지 않고, 대물주신(大物主神)만 보인다. 신무천황단에서 신무천황의 대후(大后)가 미화지대물주신(美和之大物主神; 미와노호모노누시노카미)의 딸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숭신천황단에서는 역병이 돌자 꿈에 대물주대신(大物主大神; 오모노누시노오카미)이 숭신천황의 꿈에 나타나 자신을 제사지낼 것을 요구하자, 그의 후손을 찾아내어 이 신을 제사지냈다고 적고 있다.
4. 구사비하다명(久斯比賀多命)
구사비하다명은 『신찬성씨록』 산성국 신별 「박인야(狛人野)」 조(527)에서는 즐일방명(櫛日方命; 구시히가타노미코토)으로 표기하였다. 『고사기』 에 보이는 즐어방명(櫛御方命; 구시미카타노미코토)과 같은 신이다. 『고사기』 숭신기에서는 대물주신이 활옥의비매(活玉依毗賣; 이쿠타마요리비메)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이 즐어방명(櫛御方命; 구시미카타노미코토)이라고 하였다. 『일본서기』 숭신천황 7년 추8월 계묘삭 기유조에서는 대물주대신과 활옥의원(活玉依媛; 이쿠타마요리비매)의 아들 이름이 대전전근자(大田田根子; 오타타네코노미코토)라고 적고 있어, 『고사기』 나 『신찬성씨록』 과는 다른 전승에 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석변공(石邊公; 이소베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1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