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사패산1보루

賜牌山1堡壘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의정부시 사패산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0.26km
입지
사패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가지능선을 따라 3개의 보루가 긴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1보루는 사패산에서 동쪽으로 약 1.3km 떨어진 가지능선 상의 봉우리(해발 355m)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봉우리의 가파른 화강암 암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부분적으로 바위 사이 공간을 석축으로 연결한 것이 특징이다. 유적의 전체 둘레는 263m가량이다.
출토유물
* 토기편(고구려)
참고문헌
「남한의 고구려유적」, 2006
해설
경기도 의정부시 사패산에 위치한 고구려 보루이다. 이곳은 동쪽의 의정부 일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이 한눈에 조망되며, 한강 유역에서 중랑천을 따라 북쪽의 양주 분지를 통과하거나 천보산맥의 동쪽으로 우회하여 북상하는 고대 교통로를 통제하기에 유리한 위치이다. 사패산보루군은 북한산 국립공원의 북쪽에 해당하는 사패산(해발 552m)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3개의 보루가 긴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사패산1보루는 사패산에서 동쪽으로 약 1.3km 떨어진 능선 위의 봉우리(해발 355m) 정상부에 위치한다. 동쪽의 의정부는 물론 인접한 3번 국도를 따라 북쪽의 양주분지 남단부와 남동쪽의 수락한 일대까지 잘 조망된다. 1보루는 봉우리의 가파른 화강암 암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부분적으로 바위 사이 공간을 석축으로 연결한 것이 특징이다. 평면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으로 길게 조성되어 있으며, 장축 90m, 둘레 263m이다. 능선과 연결되는 남서쪽 외곽의 경우 높이 5m, 너비 7~8m의 석축시설이 남아있고, 남쪽 구간은 높이 2m, 너비 3.5m, 북쪽 구간은 높이 5m, 너비 1m의 석축이 확인된다. 성 내부는 경사가 급하고 평탄지가 협소하여 소규모의 유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위 위에는 어떤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파놓은 직경 15cm 내외의 기둥 구멍이 다수 확인된다. 유물은 황갈색, 회흑색의 대형 항아리 등 고구려계 토기 조각이 수습되었다.
사패산2보루는 1보루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작은 봉우리(해발 390m) 정상부에 위치하며, 의정부를 비롯한 주변 일대가 한눈에 조망된다. 2보루도 1보루와 마찬가지로 가파른 자연 암벽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석축시설은 취약한 곳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평면 형태는 동서로 긴 타원형이며, 장축 66m, 둘레 172m이다. 화강암 암반으로 이루어진 봉우리 정상부에 약간의 석축이 남아 있으나 대부분 토사에 묻혀있다. 성 내부에는 바위 위에 파놓은 원형 기둥 홈이 확인된다. 유물은 주로 신라~통일신라 계통의 것이 대부분이며, 고구려 토기로 추정되는 회청색의 단단한[경질(硬質)] 토기가 소량 확인되었다.
사패산3보루는 북서쪽의 1보루에서 800m, 2보루에서 94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곳은 동쪽의 수락산보루와 대응하며 중랑천을 따라 남북으로 연결되는 고대 교통로를 통제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부 외곽을 돌아가며 성벽을 쌓았으나 대부분 붕괴된 상태이다. 평면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이 긴 타원형이며 장축 100m, 둘레 250m, 내부면적 2,901㎡로 사패산보루군 중 규모가 가장 크다. 비교적 성벽의 잔존 상태가 양호한 서쪽 성벽의 경우 바깥쪽은 돌로 쌓고 안쪽은 흙으로 다져 쌓은[내탁식(內托式)] 흔적이 확인된다. 성 내부에는 집수시설로 추정되는 평면이 둥근 석축시설이 일부 남아 있다. 유물은 주로 삼국시대 토기가 수습되었으며, 고구려 토기로 추정되는 것도 소량 포함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사패산1보루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2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