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왜적을 정벌하다가 전사한 중국의 관군(官軍)의 제단 설치 등에 대한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14. 回咨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5년 2월 16일(음)(萬曆二十三年二月十六日)
  • 출전
    『事大文軌』 卷12: 27a-29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55~60쪽
14. 回咨
 
朝鮮國王,
准來咨, 該爲 征倭陣亡官軍, 懇乞聖明, 就彼設壇, 以慰忠魂等 事. 云云. 等因.
 
准此. 査照, 先該萬曆二十一年閏十一月內, 准貴司咨前事.
奉禮部箚付. 該本部題.
祠祭淸吏司案呈.
奉本部送.
禮科抄出.
巡按山東監察御史周維翰題. 節該.
今照平壤·開城·碧蹄·王京陣亡及病故官軍, 骨委溝壑, 膏塗草野, 抱泣幽泉, 舍悲異域, 暗雨凄風, 誰爲洒一麥飯乎. 合無于平壤·開城·碧蹄·王京設壇四處, 每歲遼東都司, 春秋二季動支官銀, 整辦香燭·猪羊·酒果, 遣官赴彼致祭. 其所建壇場. 乞特賜嘉名. 等因.
奉聖旨.
禮部知道.
欽此. 欽遵.
抄出到部送司, 到部案呈.
看得, 東征將士, 挺身絶域, 畢命鋒鋩, 委應愍祭, 以慰忠魂주 001
각주 001)
앞 13번 문서에서는 이 부분의 ‘忠魂’을 ‘幽魂’이라고 하였다.
닫기
. 旣經巡按御史目擊具題, 合候命下, 行令遼東都司, 移文朝鮮國, 將平壤·開城·碧蹄·王京地方, 各設壇場一區, 就遣本司堂上官一員, 前去致祭. 以後每年動支官銀, 整辦香燭·猪羊·酒果, 交付該國進貢官員致祭, 不必年年遣官. 至于壇場名額, 統望皇上欽定. 等因.
本部尙書羅等 題. 奉聖旨.
是. 壇名與做愍忠.
欽此. 欽遵. 爲此, 合箚該司, 照依箚內及本部題奉欽依內事理, 欽遵施行. 等因.
奉此. 合咨前去, 貴國煩請選委官員, 將平壤·開城·碧蹄·王京四處廝殺地方, 各設壇場一區, 仍做愍忠牌枋於壇門之南, 設牌位四面上書, 大明征東陣亡官軍之位拾字. 仍將設過壇所, 希由回復, 以憑轉報施行. 等因.
准此. 已經行令禮曹選差委官於京城·碧蹄·開城·平壤四處地面, 査依咨內開列事理, 設築壇場, 以候貴司親祭. 去後, 今該前因, 爲照, 上國官軍, 以小邦故效忠行陣, 損軀海外. 當職, 傷之寢食不安. 已於萬曆二十一年二月內, 差陪臣禮曹參判成守益, 前年平壤廝殺地面, 齎文設祭, 以慰忠魂. 仍照平壤等處, 合有定設壇場, 及春秋該用祭品, 以寓永久不忘之意, 而顧緣賊在門庭, 祀典靡遑, 擧國舍嗟. 欽蒙聖上, 惻然動念, 旣賜名壇場, 又准每歲春秋發銀致祭. 當職益戴仁恩, 感涕交零. 除將遊擊陳, 齎交銀八兩七錢六分, 轉令京城·碧蹄·開城·平壤該管陪臣, 査依咨內開列祭品數目, 十分精辦, 毋致欠缺, 仍欽寫諭祭之文, 聽候領兵遊擊陳, 親詣各壇祭祀外, 爲此, 合行回咨, 請照驗轉報施行. 須至咨者.
右咨遼東都指揮使司.
 
萬曆二十三年二月十六日.

  • 각주 001)
    앞 13번 문서에서는 이 부분의 ‘忠魂’을 ‘幽魂’이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왜적을 정벌하다가 전사한 중국의 관군(官軍)의 제단 설치 등에 대한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자료번호 : sdmg.d_0003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