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관계가 단절된 고려의 왕송(王誦)에게 조서를 내림

  • 날짜
    1000년 10월 (음)(咸平 3年(1000) 10月 庚午)
  • 출전
    卷47 咸平 3年(1000) 10月 庚午
순화(淳化)주 001
각주 001)
淳化 : 송 2대 황제 태종의 연호로, 990∼994년 사이에 사용되었다.
닫기
말년부터 고려가 조공을 중단했고, 국왕 왕치(王治)[성종(成宗)]가 죽고 동생 왕송(王誦)[목종(穆宗)]주 002
각주 002)
(王)誦 : 980∼1009, 재위 997∼1009. 고려의 7대왕 목종이다. 이름은 誦, 자는 孝伸으로, 아버지는 5대왕 경종이고, 어머니는 獻哀王后 皇甫氏이다. 부왕이 죽었을 때 2세여서 당숙인 성종이 즉위하여, 성종의 보살핌을 받았다. 성종 9年(990)에 개령군에 봉해졌고, 997년에 즉위하였다. 전시과와 과거제의 정비 등을 시행하였으나 모후 헌애왕후(일명 천추태후)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1009년에 천추태후가 김치양과의 사이에 난 아들로 목종의 뒤를 잇게 하고자 대량원군을 죽이려 하자, 대량원군을 지키면서 왕위를 잇게 하려 하였다. 결국 강조의 정변으로 대량원군은 8대왕 현종으로 즉위하였으나, 목종 자신은 강조에게 살해되었다.
닫기
이 즉위했다. 일찍이 (왕송이) 병교(兵校) 서원(徐遠)을 보내 조정의 명을 살피게 했는데 멀어서 오래도록 도착하지 않았다. 이에 그 신하 이부시랑(吏部侍郎)주 003
각주 003)
吏部侍郎 : 고려의 관직. 銓選, 考功 등의 역할을 담당한 이부의 정4품 관직이다. 성종 1年(982)에 당의 3성6부제를 도입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는데, 이때에는 御事選官이었다가 성종 14年(995)에 어사도 성이 상서도성으로 바뀌면서 尙書吏部로 개칭되었다.
닫기
조지린(趙之遴)주 004
각주 004)
趙之遴 : ?∼1011. 고려의 관인. 白州 銀川縣 출신이다. 성종 14年(995)에 左承宣으로 거란(요)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목종 때에는 吏部侍郞·知銀臺事에 올랐다. 현종 2年(1011)에 尙書左僕射·參知政事로 있다가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恭華이다. 그는 행정에 소질이 있으나, 朋黨을 만들고 남의 재물을 횡령한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술을 매우 좋아하였다고 한다.
닫기
이 아장(牙將) 주인소(朱仁紹)주 005
각주 005)
朱仁紹 : 생몰년 미상. 고려의 관인. 조지린이 송으로 사신을 보냈다는 본문의 기록 외에 다른 기록이 없어, 자세한 이력을 알 수 없다.
닫기
를 보내 등주(登州)에 이르러 정탐하게 했다. 등주에서 이를 보고하니 황제께서 특별히 주인소를 불러 만나 위로하고 기물과 비단을 하사했다. 이로써 주인소가 고려사람들이 황제의 덕화를 사모하고 있으나 거란(요)의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을 스스로 아뢰었다. 이에 (황제는) 왕송에게 전함에 담긴 조서를 한 통 주어 주인소로 하여금 갖고 가게 했다. 그 때 명주(明州)주 006
각주 006)
明州 : 북송의 지명. 唐 開元 26年(738)에 越州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고, 치소는 鄮縣에 있었다. 위치는 현재 중국 浙江省 鄞縣의 서남쪽에 있는 鄞江鎭이다. 天寶 元年(742)에 명칭이 餘姚郡으로 변경되었다가 乾元 元年(758)에 다시 明州로 바뀌었다. 長慶 元年(821)에 치소를 현재 浙江 寧波市로 옮겼다. 오대 10국 시기에 吳越이 치소 鄮縣의 명칭을 鄞縣으로 변경했다. 북송 淳化 3年(992)에 杭州市舶司를 明州로 옮겼고, 定海縣에 속하게 했다. 咸平 2年(999)에 시박사를 明州에 설치하여 고려, 일본 등과 교역을 하는 중요한 항구의 역할을 했다. 남송 紹熙 5年(1194)에는 慶元府로 개칭했다.
닫기
에서 또 고려국 사람 지달(池達) 등 8인이 바닷바람에 배가 부서져 표류하다 은현(鄞縣)주 007
각주 007)
鄞縣: 북송의 지명. 五代 後梁 開平 2年(908)에 吳越이 鄮縣의 명칭을 바꾸어 설치한 현이다. 明州의 치소였고, 위치는 현재 浙江 寧波市이다.
닫기
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황제가) 등주에 조서를 내려 식량을 지급하고 좋은 때를 기다려 그 나라로 돌려보내게 했다.

  • 각주 001)
    淳化 : 송 2대 황제 태종의 연호로, 990∼994년 사이에 사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王)誦 : 980∼1009, 재위 997∼1009. 고려의 7대왕 목종이다. 이름은 誦, 자는 孝伸으로, 아버지는 5대왕 경종이고, 어머니는 獻哀王后 皇甫氏이다. 부왕이 죽었을 때 2세여서 당숙인 성종이 즉위하여, 성종의 보살핌을 받았다. 성종 9年(990)에 개령군에 봉해졌고, 997년에 즉위하였다. 전시과와 과거제의 정비 등을 시행하였으나 모후 헌애왕후(일명 천추태후)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1009년에 천추태후가 김치양과의 사이에 난 아들로 목종의 뒤를 잇게 하고자 대량원군을 죽이려 하자, 대량원군을 지키면서 왕위를 잇게 하려 하였다. 결국 강조의 정변으로 대량원군은 8대왕 현종으로 즉위하였으나, 목종 자신은 강조에게 살해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吏部侍郎 : 고려의 관직. 銓選, 考功 등의 역할을 담당한 이부의 정4품 관직이다. 성종 1年(982)에 당의 3성6부제를 도입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는데, 이때에는 御事選官이었다가 성종 14年(995)에 어사도 성이 상서도성으로 바뀌면서 尙書吏部로 개칭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趙之遴 : ?∼1011. 고려의 관인. 白州 銀川縣 출신이다. 성종 14年(995)에 左承宣으로 거란(요)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목종 때에는 吏部侍郞·知銀臺事에 올랐다. 현종 2年(1011)에 尙書左僕射·參知政事로 있다가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恭華이다. 그는 행정에 소질이 있으나, 朋黨을 만들고 남의 재물을 횡령한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술을 매우 좋아하였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5)
    朱仁紹 : 생몰년 미상. 고려의 관인. 조지린이 송으로 사신을 보냈다는 본문의 기록 외에 다른 기록이 없어, 자세한 이력을 알 수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明州 : 북송의 지명. 唐 開元 26年(738)에 越州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고, 치소는 鄮縣에 있었다. 위치는 현재 중국 浙江省 鄞縣의 서남쪽에 있는 鄞江鎭이다. 天寶 元年(742)에 명칭이 餘姚郡으로 변경되었다가 乾元 元年(758)에 다시 明州로 바뀌었다. 長慶 元年(821)에 치소를 현재 浙江 寧波市로 옮겼다. 오대 10국 시기에 吳越이 치소 鄮縣의 명칭을 鄞縣으로 변경했다. 북송 淳化 3年(992)에 杭州市舶司를 明州로 옮겼고, 定海縣에 속하게 했다. 咸平 2年(999)에 시박사를 明州에 설치하여 고려, 일본 등과 교역을 하는 중요한 항구의 역할을 했다. 남송 紹熙 5年(1194)에는 慶元府로 개칭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鄞縣: 북송의 지명. 五代 後梁 開平 2年(908)에 吳越이 鄮縣의 명칭을 바꾸어 설치한 현이다. 明州의 치소였고, 위치는 현재 浙江 寧波市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관계가 단절된 고려의 왕송(王誦)에게 조서를 내림 자료번호 : jt.k_0003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