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변계(邊界)의 땅을 개간하는 폐단에 대해 조선국왕이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에게 보낸 자문(咨文)

21. 本國禁耕邊界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5년 3월 4일(음)(萬曆二十三年三月初四日)
  • 출전
    『事大文軌』 卷12: 40b-42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82~86쪽
21. 本國禁耕邊界
 
朝鮮國王,
爲 禁墾邊界, 以杜獘患 事.
 
議政府狀啓.
據平安道兵馬節度使申磼呈.
該本年正月二十九日, 有漢人馬·步共三十餘名, 進向昌城鎭那邊賊路去訖. 卑職就着大吉號里權管白隆虎, 領兵跟探問. 據本人說稱, 上國官司, 要充兵粮, 今於這地面, 開田住種. 見簽農軍百有五十餘名, 牛百餘隻, 要做庄家, 來砍木料, 打造窩鋪等情. 仍示文書一紙, 委係舊年所呈. 內有鎌刀灣·石明河等處開墾字樣, 所據地名, 未審的係何處, 但凡本地密邇虜境, 比先他每屢要耕墾, 或峻詞說退, 或揚威趕出, 嚴截界限, 禁勿侵冒. 今若上國軍民, 前來住種, 邊臨賊境, 勢甚孤懸, 惹釁貽患, 難保必無. 合無備由轉啓, 先行禁革. 等因.
具呈. 據此. 臣等參看得前項鎌刀灣石等處, 未知的係何處. 但所據要耕地面, 委近虜地, 旣已禁截. 今若上國許民耕墾, 仍盖房屋, 漸次來住, 意外踈虞, 不得不慮. 兼又本國邊氓, 密地攙越, 交通往來, 致生爭端, 決非細故. 擬合咨請遼東都司, 轉禀布政等衙門, 照舊抛荒嚴截, 關防便益. 等因.
具啓. 據此. 前因, 當職爲照, 上邦·下國旣同一家, 且係地方利害, 務要便宜相濟. 且今上國邊民, 告開荒田要充粮餉, 似應准從, 以備軍儲. 第念前項昌城那邊等處, 實近虜境, 抄竊可虞. 且又接連小邦, 勢易攙越, 致滋獘患, 委難防範. 先前年間, 節將沿江一帶地土, 必須禁革閑荒者, 實慮惹事, 其意深遠. 見今這地, 委與原先禁耕等處, 事體相同, 而賊路之逼, 交通之便, 尤爲切近. 思患預防, 在所必謹. 煩乞貴司, 査將原禁事理, 備禀布政等衙門. 仍禁右衛等處, 原告軍民, 不許混種虜近地土, 俾軍民各安分界, 邊境永保寧帖, 不勝幸甚. 爲此, 合行移咨, 請照驗轉禀施行. 須至咨者.
右咨遼東都指揮使司.
 
萬曆二十三年三月初四日.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변계(邊界)의 땅을 개간하는 폐단에 대해 조선국왕이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에게 보낸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3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