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야신(眞野臣; 마노노오미)

진야신(眞野臣; 마노노오미)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아메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 3세손 언국즙명(彦國葺命; 히코쿠니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아들 대구납명(大口納命; 오쿠타미노미코토), 아들 난파숙녜(難波宿禰; 나니하노스쿠네), 아들 대시전숙녜(大矢田宿禰; 오야타노스쿠네)가 기장족희황존(氣長足姬皇尊; 오키나가타라시히메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신공(神功; 진구)이다.]이 신라를 정벌하고 개선하는 날 진수장군(鎭守將軍)으로 체류하게 하였다. 이때 그 나라의 국왕 유탑(猶榻; 이우타후)의 딸과 혼인하여 두 명의 아들을 낳았다. 두 아들 중 형은 좌구명(佐久命; 사쿠노미코토)이고 아우는 무의명(武義命; 무게노미코토)이다. 좌구명의 9세손 화이부신조(和珥部臣鳥; 와니베노오미토리)와 무대사(務大肆) 인승(忍勝; 오시카츠) 등이 근강국(近江國; 오미토쿠니) 지가군(志賀郡; 시카노코호리) 진야촌(眞野村; 마노노무라)에 거주하였다. 경인년(庚寅年)에 성을 진야신(眞野臣; 마노노오미)이라고 하였다.
 
【주석】
1. 진야신(眞野臣)
진야(眞野; 마노)라는 씨명은 율령제 근강국 자하군(滋賀郡)의 진야(眞野; 마노)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대진전(大津田) 견전정(堅田町) 진야 일대에 해당된다.
진야신 일족은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觀) 5년(863) 9월 15일 갑진조에 숙녜 성을 받은 우경인(右京人) 주계소윤(主計少允) 정6위상 진야신영덕(眞野臣永德)과 조카 진야신도서(眞野臣道緒)가 보인다. 또 정관 6년(864) 7월 27일 신해조에는 우경인 무위(無位) 민수방영(民首方永)이 진야신이라는 성을 받았으며, 천족언국인인명(天足彦國忍人命)의 후손이라고 적혀 있다. 진야신영덕 등 진야신씨 본종씨족이라 생각되는 인물들은 진야신의 씨성을 받은 민수광문(民首廣門) 등과 동시에 숙녜 성을 받고 있고,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을 조상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대화국(大和國) 산변군(山邊郡) 사람 상야권소연(上野權少掾) 정6위상 민수광문과 우경인 대재의사(大宰醫師)정7위상 민수방종(民首方宗), 목공의사(木工醫師) 정6위상 민수광택(民首廣宅) 등이 진야신이라는 성을 받았고 (진야신)영덕과 (민수)광문 등의 선조는 천족언국압인명에서 나왔다고 적혀 있다. 그러므로 진야신씨와 민수씨는 천족언국압인명을 같은 조상으로 한 동조관계임을 알 수 있다. 민수씨는 우경 제번(하) 「민수(民首)」 조(885)에 “수해련(水海連)과 조상이 같으며 백제국(百濟國) 사람 노리사주(努利使主)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으므로, 백제계 씨족의 후손이다. 그러므로 황별에 게재되어 있는 진야신씨도 황별에 편재되어 있지만, 사실은 도래계 씨족이라 이해된다.
2.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효소천황(孝昭天皇)의 황자이다. 『일본서기』에는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아마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 『고사기』에는 천압대일자명(天押大日子命; 아메오시타라시히코노미코토)이라 표기되어 있다. 『일본서기』와 『고사기』 모두 사적(事績)에 관한 기재는 없다. 『일본서기』 효소 6년 봄 정월 정해삭 경자조에는 “천족언국압인명은 화이신(和珥臣; 와니노오미) 등의 시조이다”라고 기재되어 있고, 『고사기』효소천황단에는 춘일신(春日臣), 대택신(大宅臣) 등 15씨의 조상이라고 적혀 있다. 『일본삼대실록』 정관 5년 9월 15일 갑진조와 정관 6년(864) 7월 27일 신해조에 따르면 천족언국압인명은 진야신과 민수의 조상이다. 좌경 황별(하) 「대춘일조신」 조(087) 천대언국압인명 참조.
3. 언국즙명(彦國葺命)
화이신의 조상이다. 『일본서기』 숭신(崇神) 10년 9월 임자조와 수인(垂仁) 25년 2월 갑자조에는 화이신(和珥臣; 와니노오미)의 원조(遠祖) 언국즙(彦國葺; 히코쿠니후쿠)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고사기』 숭신천황단에는 환이신(丸邇臣; 와니노오미)의 조상 일자국부구명(日子國夫玖命; 히코쿠니후쿠노미코토)이라 표기되어 있다. 『신찬성씨록』에는 본조 외에 좌경 황별(하) 「길전련(吉田連, 천대언국압인명의 4세손 언국즙명)」 조, 우경 황별(하)「화이부(和邇部, 천족언국압인명의 3세손 언국즙명의 후손)」 조, 산성국 황별의 「속전조신(粟田朝臣, 천족언국압인명의 3세손 언국즙명의 후손)」 조, 「엽률(葉栗, 언국즙명의 후손)」 조 등에 언국즙명이 보인다. 언급즙명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하) 「길전련(吉田連)」 조(094)언국즙명 참조.
4. 대구납명(大口納命)
「화이계도(和邇系圖)」에 언국즙명의 아들로 건야수녜명(建耶須禰命), 대구납명(大口納命)이 기재되어 있다.
5. 난파숙녜(難波宿禰)
『고사기』 중애천황단(仲哀天皇段)에는 환이신(丸邇臣)의 조상 난파근자건진웅명(難波根子建振雄命; 나니하네노코타케후루쿠마노미코토), 『일본서기』 인덕 65년조에는 화이신의 조상 난파근자무웅(難波根子武熊; 나니하노네코타케후루쿠마)이라 적혀 있다. 『신찬성씨록』에서는 본조 외에 산성국(山城國) 황별 「화이부(和邇部)」 조에 언로진명(彦姥津命)의 3세손 난파숙녜, 대화국(大和國) 황별 「구미신(久米臣)」 조에 천족언국압인명의 5세손 대난파명(大難波命)이라 기재되어 있다. 좌경 황별(하) 「화안부조신」 조(089)의 난파숙녜 참조.
6. 대시전숙녜(大矢田宿禰)
대시전숙녜에 관한 전승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는 보이지 않는다. 「화이계도」 에서는 ‘대구납명-난파숙녜-대시전숙녜(大矢田宿禰)’로 연결되는 계보 기사가 보인다. 대시전숙녜 분주(尻付)에는 “난파숙녜의 아들로 신공황후가 신라를 칠 때 신라에 머물며 진수장군(鎭守將軍)으로 활동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좌경 황별(하) 「화안부조신」 조(090)대시전숙녜 참조.
7. 기장족희황존(氣長足姬皇尊)
기장족희황존(氣長足姬皇尊; 오키나가타라시히메노스메라미코토)은 신공황후를 가리킨다. 『일본서기』에는 기장족희존(氣長足姬尊; 오키나가타라시히메노미코토), 『고사기』에는 식장대비매명(息長帶比賣命; 오키나가타라시히메노미토코), 대대비매명(大帶比賣命; 오타라시히메노미코토)이라고 적혀 있다. 『일본서기』에는 신공황후가 신탁(神託)에 따라 신라정토군(新羅征討軍)을 일으켜 만삭의 몸으로 몸소 바다를 건너 신라를 복속시키고 돌아오는 도중에 축자(筑紫)에서 응신천황(應神天皇)을 낳았다고 적혀 있다.
8. 유탑(猶榻)
「화이계도」 에서는 좌구명의 분주(尻付)에 신라 국왕 유탑(楢榻)이라고 적고 있다.
9. 좌구명(佐久命)
「화이계도」 에서 대시전숙녜의 아들로 좌구명이 보인다. 그 분주에 어머니가 신라 국왕 유탑(楢榻)의 딸이라고 적혀 있고, 아들로 조견명(鳥見命)과 소량신(小椋臣)을 들고 있다.
10. 무의명(武義命)
「화이계도」에 좌구명의 아우로 무의명이 보인다. 그 분주에 아우 팔하족니명(八河足尼命)이 기재되어 있고, 어머니는 ‘위와 같다(上同)’라고 적혀 있다.
11. 화이부신조(和珥部臣鳥)
여기에만 보인다. 화이부신이라는 씨성으로 보아 진야신씨의 구씨성이 화이부신이었음을 알 수 있다.
12. 무대사(務大肆) 인승(忍勝)
『일본서기』 천무천황 14년(685) 정월 정묘조에 관위 48계가 제정되었다. 48계 중 31위에 해당되는 관위가 무대사이다. 율령제 위계의 종7위하에 상당한다. 인승이라는 이름은 여기에만 보인다.
13. 경인년(庚寅年)
경인년은 지통천황(持統天皇) 4년(690)을 가리킨다. 690년에 전국적 호적인 경인년적(庚寅年籍)이 작성되었다. 『일본서기』 지통천황 3년(689) 윤8월 경인조에 “여러 국사(國司)에게 ‘이번 겨울에 호적을 만들라. 9월까지 부랑자를 단속하여 붙잡아라.’라고 명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경인년적은 현존하지 않지만, 2012년에 대재부(太宰府)에서 696년 호적을 작성하기 위해 경인년적 이후의 변동을 기록한 목간이 출토되었다. 우경 황별(하) 「어립사(御立史)」 조(166) 경인년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야신(眞野臣; 마노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