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3년도 발굴조사

크라스키노발해성

서론

  • 저필자
    김은국, 정석배, E.I.겔만
동북아역사재단(대한민국)은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크라스키노 고고학조사단과 공동으로 극동연방대학교의 협력을 받아 2013년 7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러시아연방 연해주 하산지구의 크라스키노 성터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도면 1~4). 발굴조사는 제44구역과 제47구역에서 진행되었다(도면 5, 6).
2013년도 조사에서 크라스키노 성의 북서쪽 부분에 설정된 제44구역에서는 석축 구조물이 잔존하는 주거지가 있는 제2건축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였고, 제3건축면에 속하는 주거지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였다. 제44구역과 인접하는 제48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는 계획은 하였으나 물을 퍼낼 수가 없어서 실시하지 못하였다.
크라스키노 성의 북쪽 중앙 부분에서는 제47구역의 범위 내에서 또 하나의 주거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섹터 3(2011년도 발굴)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확장하여 지구물리학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발굴지점(섹터 6~8)에서는 마당 흔적과 주거지의 석축 구조물 그리고 도로 유구가 발견되었다.
발굴조사는 크라스키노 성 발해 주민들의 생활과 여러 단계에 거주하였던 성터 주민들의 물질적·정신적 문화, 발해 주민들과 자연환경 사이의 상호관계, 유적의 상대적·절대적 연대 등에 대한 포괄적이고 완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13년도 야외조사 시즌의 기본 과제들은 다음과 같다.
- 아래(下) 건축면들에 대한 조사를 위해 크라스키노 성의 북서쪽 부분 제44구역의 거주구역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한다.
- 지구물리학적 자료 확보를 위해 유적의 북쪽 중앙 부분에 대해 조사를 계속 진행한다.
- 유적의 평면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유적의 북쪽 중앙 부분(제47구역) 상(上) 건축면에 대한 조사를 계속한다.
- 제47구역 일대 상 건축면에의 건축물들의 밀도 및 문화층의 형성과정을 연구한다.
고고학 발굴조사는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야외조사부에서 E.I.겔만에게 발급한 № 492 발굴허가서에 따라 실시하였다. 고고학 조사와 이 책의 준비 작업은 동북아역사재단 및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의 지원금 주 001
각주 001)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12-III-A-11-216, 12-III-A-11-215 및 12-III-Д-11-040 지원금.
닫기
을 통해 수행하였다.
발굴조사는 성터 내의 2개 지점 ― 제44구역(167㎡), 제47구역(133㎡) ―에서 실시하였다. 전체 발굴조사 면적은 300㎡다.
발굴조사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E.I.겔만 박사(발굴단장), E.V.아스따쉔꼬바 박사, Ya.E.삐스까료바 박사, V.I.볼딘 박사, A.L.이블리예프 박사, E.V.또로뽀바 도서관장, S.S.까바친스끼 대학원 박사과정. 동북아역사재단 김은국 박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교수, 중국 길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김은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동귀, 김봉연, 김민송 학생.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역사학고고학인류학과 1~5학년 학생 A.Yu.사나페예브, V.I.빠리추크, I.마레프, R.A.그리찌께비치, A.S.곤차로바, O.A.깔라체바, M.A.예브도끼모바, M.N.수리나, E.S.꼬마로바, A.A.루빠체바, D.A.스다로보이또프, S.레베데프, A.M.가빠.
극동연방대학교 교육학대학 학생 V.V.벨랴예브.
볼론스크 자연보호구역 학예직원 조류학자 A.N.스베들라꼬프.
연해주 정보 프로그램국 직원(‘베스찌: 쁘리모리예’, 국립텔레비전라디오채널방송 ‘블라디보스토크’) V.S.찌노브낀.
운전기사 M.V.부트, 요리사 A.I.꼬뗀꼬.
블라디보스토크 중등학생 T.A.삐스까료바, I.떼레호브, M.A.쉐삘린.
이 책의 텍스터 작업은 E.I.겔만, E.V.아스따쉔꼬바, Ya.E.삐스까료바, 정석배, 김은국이 하였고, 발굴조사 현장에서의 도면 작업과 사진촬영은 E.I.겔만, E.V.아스따쉔꼬바, Ya.E.삐스까료바, 정석배, 김은국, 김은옥, 정동귀, 김봉연, 김민송이 하였다. 토기 유물에 대한 정리와 분석, 그리고 기술적인 실측은 E.I.겔만이 하였다. 동물 뼈에 대한 분석은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생태토양연구소 학예연구원 V.E.오멜꼬와 극동연방대학교 생태학 및 해양자원학과 M.A.비노꾸로바 학생이 실시하였다. 현장에서의 유물 정리 작업은 E.V.또로뽀바와 E.I.겔만이 수행하였다. 유물 사진촬영은 정석배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사진작가 L.A.가라까가, 유구 도면에 대한 컴퓨터 작업은 D.G.또밀로프가 각각 수행하였다. 모든 유물들에 대한 도면과 컴퓨터 작업은 S.V.리빠또바가 하였고, 자료 출간 준비에는 극동연방대학교 석사과정 A.Yu.사나페예프도 참여하였다.
그 외에도 2014년 2월 11~20일까지 김은국, 정석배, 정동귀, 김영현이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에서 2013년도 크라스키노 성 출토 유물들에 대한 정리, 실측, 사진촬영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물은 이 책의 필요한 부분들에 반영되었고, 덕분에 이 책의 내용은 더욱 충실해졌다.

  • 각주 001)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12-III-A-11-216, 12-III-A-11-215 및 12-III-Д-11-040 지원금.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론 자료번호 : kr.d_0011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