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一書)천진언언화경경저존이 강림함(9-4)

어떤 책(一書)주 001
번역주 001)
일서 9-4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본문 및 『古事記』의 내용과도 일치하는 천손강림 설화인데, 다만 大伴氏의 祖가 來目部의 祖를 이끌고 있다고 한 점, 양자가 동격이 아닌 전자의 우위를 전제로 하고 있는 점이 『古事記』·『日本書紀』의 내용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닫기
에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9-4).

고황산령존(高皇産靈尊)은 진상복금(眞床覆衾)을 천진언국광언화경경저존에게 입혀서 천반호(天磐戶)를 열고 첩첩한 구름을 헤치고 내려가게 하였다. 이때 대반련(大伴連;호토모노무라지)주 002
번역주 002)
大伴氏는 일찍부터 천황가에 종속하여 物部氏와 함께 군사를 담당한 유력한 씨족으로, 천손강림에 수반한 씨족으로서의 전승을 갖고 있다.
닫기
의 선조 천인일명(天忍日命;아마노오시히노미코토), 내목부(來目部;쿠메베)의 선조 천환진대내목(天槵津大來目;아메쿠시츠노오호쿠메)을 데리고 등에는 화살통을 짊어지고, 팔에는 가죽을 대고, 손에는 천호궁(天槴弓)과 천우우시(天羽羽矢)을 잡고, 팔목명적(八目鳴鏑)주 003
번역주 003)
八目은 많은 구멍을 말하는데, 날아갈 때 철촉 위의 鏑의 구멍에 바람이 들어가 소리를 내는 화살로 한반도에서 도입된 것으로 이해된다.
닫기
의 화살을 갖추고 또 두퇴검(頭槌劒)주 004
번역주 004)
한반도에서 전래된 環頭대도가 아닌 손잡이 끝이 塊狀이고 손잡이 전체가 槌狀인 일본 독자의 고분시대의 검을 말한다.
닫기
을 차고, 천손의 선도를 받아 일향(日向) 고천수(高千穗) 환일(槵日)에 있는 이상봉(二上峯)의 천부교(天浮橋)에 도착하여 둔치에 가까운 평지에 내려와 서서, 황폐한 지역의 언덕으로 이어진 곳으로부터 나라를 찾아 지나가니, 드디어 오전(吾田) 장옥(長屋)의 해변에 이르렀다. 이때 거기에 한 신이 있었는데 이름은 사승국승장협(事勝國勝長狹;코토카츠쿠니카츠나가사)이라 하였다. 천손이 그 신에게 “나라가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있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말씀대로 바치겠습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래서 천손이 거기에 머물렀다. 사승국승신이장락존(伊奘諾尊)의 아들로서, 다른 이름은 염토로옹(鹽土老翁;시호츠츠노오지)주 005
번역주 005)
조수의 정령이라는 의미로 潮水를 관장하는 신이다. 해로의 안내자 역할을 하고 있다.
닫기
이다.

  • 번역주 001)
    일서 9-4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본문 및 『古事記』의 내용과도 일치하는 천손강림 설화인데, 다만 大伴氏의 祖가 來目部의 祖를 이끌고 있다고 한 점, 양자가 동격이 아닌 전자의 우위를 전제로 하고 있는 점이 『古事記』·『日本書紀』의 내용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大伴氏는 일찍부터 천황가에 종속하여 物部氏와 함께 군사를 담당한 유력한 씨족으로, 천손강림에 수반한 씨족으로서의 전승을 갖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八目은 많은 구멍을 말하는데, 날아갈 때 철촉 위의 鏑의 구멍에 바람이 들어가 소리를 내는 화살로 한반도에서 도입된 것으로 이해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한반도에서 전래된 環頭대도가 아닌 손잡이 끝이 塊狀이고 손잡이 전체가 槌狀인 일본 독자의 고분시대의 검을 말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조수의 정령이라는 의미로 潮水를 관장하는 신이다. 해로의 안내자 역할을 하고 있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고황산령존, 천진언국광언화경경저존, 천인일명, 천환진대내목, 사승국승장협, 사승국승신, 이장락존, 염토로옹
지명
일향, 고천수, 환일, 이상봉, 오전, 장옥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一書)천진언언화경경저존이 강림함(9-4) 자료번호 : ns.k_0002_001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