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비조호조(飛鳥戶造; 아스카베노미야코)

비조호조(飛鳥戶造; 아스카베노미야코)
 백제국(百濟國) 비유왕(比有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비조호조(飛鳥戶造)
비조호(飛鳥戶)는 안숙호(安宿戶) 혹은 안숙(安宿)이라고도 표기한다. 하내국(河內國) 비조호군(飛鳥戶郡, 安宿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 대판부(大阪府) 남하내군(南河內郡)의 한 지역이다.
비조호조씨(飛鳥戶造氏)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신호경운 2년 11월 계미조에 조종5위하 비조호조소동인(飛鳥戸造小東人)이 장문개(長門介)에 보임된 기록이 있다. 『일본후기』 홍인(弘仁) 3년(812) 정월조에 우경인(右京人) 정6위상 비조호조선종(飛鳥戸造善宗), 하내국인(河內國人) 정6위상 비조호조명계(飛鳥戸造名繼)가 백제숙녜(百濟宿禰)의 씨성을 받고 있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4년(862) 7월조에 우경인 비조호조미도(飛鳥戸造彌道)에게 백제숙녜의 씨성을 주었고, 그의 출자는 백제국 곤기(昆伎)의 후손이라고 한다. 아울러 하내국(河內國) 안숙군(安宿郡) 사람으로 외종5위하 비조호조풍종(飛烏戸造豐宗)의 이름이 보인다. 또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5년(863) 10월조에 우경인 비조호조청정(飛鳥戸造淸貞)·비조호조청생(飛鳥戸造淸生)·비조호조하주(飛鳥戸造河主), 하내국 고안군(高安郡) 사람 비조호조유웅(飛鳥戸造有雄) 등이 백제숙녜의 씨성을 받았으며 그 출자에 대해 백제인 비유왕(比有王)의 후손이라고 명기하고 있다. 백제숙녜씨(百濟宿禰氏)에 대해서는 하내국 제번 「비조호조(飛鳥戶造)」 조(1038) 참조.
『정창원문서』 에도 다수의 비조호조씨 일족이 나온다. 천평 20년 4월 25일부 「사경소해(寫經所解)」(『대일본고문서』3-80)에 안숙호조흑마려(安宿戶造黑麻呂)와 안숙조직□□(安宿造直□□)가 나오고, 천평승보 3년 5월 21일부 「하총국사해(下總國司解)」(동 3-503)에 안숙조대충(安宿造大虫), 천평보자 2년 7월 5일시 「천수천안병신견색약사경과전의지등하충장(千手千眼幷新羂索藥師經科錢衣紙等下充帳)」(동 13-368)에 안숙조주마려(安宿 造主麻呂), 천평보자 2년 9월 19일 「후금강반야경사필묵충장(後金剛般若經師筆墨充帳)」(동 14-156)에 비조호립만려(飛鳥戶立萬呂) 등이 있다. 이들의 본거지는 하내국 안숙군(安宿郡), 고안군(高安郡) 등지였음을 알 수 있다.
2. 비유왕(比有王)
백제 비유왕(毗有王, 재위 427~455)으로 『송서』 백제조에는 여비(餘毗)로 나와 있다. 구이신왕의 장남이고, 개로왕과 왜국에 파견된 곤지(昆支)는 그의 아들이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5년(863) 10월조에 비조호조씨에 대하여 “그 선조는 백제국인 비유의 후손이다”라고 하고, 동 정관 6년 8월조에도 “좌경인 대황태후궁 소속(少屬) 정7위상 백제숙녜유세(百濟宿禰有世)는 어춘조신(御春朝臣)의 씨성을 받았고, 그 선조는 백제국 사람 비유이다”라고 출자를 기록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비조호조(飛鳥戶造; 아스카베노미야코)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