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쿠네)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쿠네)
 위(魏) 무제(武帝)의 태자 문제(文帝)로부터 나왔다.
 
【주석】
1. 고향촌주(高向村主)
고향(高向)의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금부군(錦部郡) 금부향(錦部鄕) 고향촌(高向村)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판상계도(坂上系圖)〉에 인용된 『신찬성씨록』 제23권의 일문(逸文)에는 응신조(應神朝) 때에 아지왕(阿知王)이 통솔하는 7성(姓) 한인(漢人)의 필두에 고향촌주(高向村主)가 나온다. 동 일문에서 아지왕은 아지사주(阿知使主)를 말하는데, 그의 본향 인민이 이산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에 편재되어 있다가 인덕조(仁德朝) 때에 집락을 들어 이주했다는 전승과 함께 고향촌주 등 촌주 성을 갖은 30씨는 당시의 후예들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일본서기』 응신기 20년 9월조에는 “왜한직(倭漢直)의 선조 아지사주(阿知使主)와 그의 아들 도가사주(都加使主)는 그의 무리 17현을 거느리고 내귀하였다”라고 한다. 왜한직은 백제계 도래씨족인 동한씨(東漢氏)이고, 촌주(村主) 성의 대부분은 백제계라는 점에서 고향촌주 역시 백제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고향촌주(高向村主)의 일족으로는 천평(天平) 10년(738)의 「천수경최승왕경서사주문(千手經最勝王經書寫注文)」(『大日本古文書』 1-484)에 사경소의 관인력명(官人歷名) 중에 고향촌주안마려(高向村主安麻呂)가 나오고, 천평(天平) 17년(745) 10월 20일부의 「아악료해(雅樂寮解)」(『大日本古文書』 2-472)에 정6위상 행소윤(行小允) 고향촌주로인(高向村主老人)의 이름이 나온다. 이 외에도 천평보자(天平寶字) 6년(754) 5월부(『寧樂遺文』 下- 635)의 사경소공문(寫經所公文)에 고향촌주동인(高向村主東人)이 사경사로서 이름을 남기고 있다.
2. 위무제(魏武帝)
위나라의 태조인 조조(曹操, 155~220)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