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촌숙녜(高村宿禰; 다카무라노스쿠네)

고촌숙녜(高村宿禰; 다카무라노스쿠네)
 노공왕(魯恭王)의 후손인 청주자사(靑州刺史) 유종왕(劉琮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고촌숙녜(高村宿禰)
고촌숙녜의 옛 성은 고궁촌주(高宮村主)이고 후에 춘원련(春原連), 고촌기촌(高村忌村)으로 개성하였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784) 7월 계미조에 고궁촌주사(高宮村主使), 진목산(眞木山) 등이 춘원련(春原連)으로 사성되었고, 동 연력 4년 3월에 고촌기촌의 씨성을 받았다. 『일본후기』 홍인(弘仁) 2년(811) 윤12월 정사조에 숙녜의 성으로 개성되었다고 한다.
고촌숙녜의 일족으로는 천평(天平) 5년(723) 「우경계장(右京計帳)」(『大日本古文書』1-449)에 고궁촌주부대부매(高宮村主部大富賣),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5년(840) 정월 병인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고촌숙녜청직(高村宿禰淸直), 동 승화 15년(850) 정월 무인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고촌숙녜무주(高村宿禰武主) 등이 있다. 『일본기략(日本紀略)』 홍인 9년(818) 11월 정미조에 “동궁학사(東宮學士) 종4위하 고촌숙녜전사(高村宿禰田使), 나이 76”이라고 하여 고촌숙녜전사가 동궁학사에 임명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천평승보(天平勝寶) 7년(755) 9월 28일부 「반전사력명(班田司歷名)」(『大日本古文書』 4-81)에 고궁춘인(高宮春人), 평성궁 출토 목간(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74, 『平城宮木簡』 2)에는 고궁오백도(高宮五百島)의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무성으로 나오지만 아마도 촌주(村主) 성일 것으로 보인다.
2. 노공왕(魯恭王)
전한의효경황제(孝景皇帝, 景帝)의아들이다. 공왕(恭王)은 공왕(共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유여(劉余)이다. 『한서』 경십삼왕전(景十三王傳)에 “효경황제 14남왕 ……알정희(閼程姬)가 노공왕여(魯共王余)를 낳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3. 유종왕(劉琮王)
유종은 후한 말 산양군(山陽郡) 고평현(高平縣) 사람이다. 전한 경제의 4자인 노공왕 유여의 자손인 유표(劉表)의 아들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촌숙녜(高村宿禰; 다카무라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