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산전조(山田造; 야마타노미야츠코)

산전조(山田造; 야마타노미야츠코)
 산전숙녜(山田宿禰)와 같은 조상이고, 충의(忠意)의 후손이다.
 
【주석】
1. 산전조(山田造)
산전조의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교야국(交野郡) 산전향(山田鄕)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 대판부(大阪府) 매방시(枚方市) 산정(山田) 부근이다. 산전조씨의 옛 성은 사(史)이다. 『속일본기』천평보자(天平寶字) 3년(759) 12월 임인조에 산전사광명(山田史廣名) 등 403인이 조(造)의 성을 받았다는 기록을 통해 사(史)에서 조(造)로 개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산전조씨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景雲) 원년(767) 9월 기사조에 우경인(右京人) 정7위하 산전조길계(山田造吉繼)가 산전련(山田連)으로 개성한 내용이 나온다. 『일본후기』 연력(延曆) 24년(805) 6월 기사조에는 외종5위하 산정조대정(山田造大庭)을 단후개(丹後介)에 보임하였고, 『속일본후기』 대동(大同) 3년(808) 6월 임술조에는 산전조익인(山田造益人)이 나온다. 『속일본후기』 천장(天長) 10년(833) 12월에는 우경인 소외기(少外記) 산전조고사(山田造古嗣) 등이 숙녜(宿禰)로 개성하였다.
이 중에서 졸전(卒傳)을 남긴 산전숙녜고사(山田宿禰古嗣)에 대해 『일본문덕천황실록』 인수(仁壽) 3년(853) 12월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상모권개(相摸權介)종5위상 산전숙녜고사가 죽었다. 그는 좌경인이고 월후개(越後介) 외종위하 훈6등의 산전숙녜익인(山田宿禰益人)의 장자이다. 천장 3년에 육오안찰사(陸奧按察使)의 속관인 기사(記事)가 되었고, 동 5년에 소내기(少內記), 동 6년에 소외기(少外記), 승화(承和) 원년에 대외기(大外記)가 되었고 공경대신이 고문으로서 예우하였다. 천장 13년에는 아파개(阿波介), 뒤에 상모권개(相摸權介)가 되었지만, 관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졸년 시의 나이는 56세이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9년(842) 정월 무술조에는 무위 산전숙녜근고자(山田宿禰近古子)는 종5위하로 관위를 받고 여관(女官)으로 차아태상천황(嵯峨太上天皇)의 갱의(更衣)가 되었고, 동년 4월 을축조에는 우대사(右大史) 정6위상 산전숙녜문웅(山田宿禰文雄)을 보내 발해사에게 시복(時服)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삼대실록』 에 보이는 산전숙녜 일족으로는 정관(貞觀) 11년(869) 4월 경자조에 정6위상 행대학대속신(行大學大屬臣) 산전숙녜홍종(山田宿禰弘宗), 동 원경(元慶) 원년(877) 정월 을해조에는 좌대사(左大史) 정6위상 산전숙녜초종(山田宿禰超宗), 동 원경 7년(883) 정월 갑술조에는 대외기(大外記) 정6위상 산전숙녜시종(山田宿禰時宗), 동 인화(仁和) 2년(886) 8월 경신조에 소록(少錄) 정6위상 산전숙녜방흥(山田宿禰方興) 등이 있다.
2. 산전숙녜(山田宿禰)
우경 제번(상) 「산전숙녜(山田宿禰)」 조(823)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전조(山田造; 야마타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