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산구숙녜(山口宿禰; 야마구치노스쿠네)

산구숙녜(山口宿禰; 야마구치노스쿠네)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사카노우헤노오스쿠네)와 조상이 같으며 도하직(都賀直; 츠카노아타이) 4세손인 도황직(都黃直)의 후손이다.
 
【주석】
1. 산구숙녜(山口宿禰)
산구(山口)의 씨명은 『고사기』 웅략천황단(雄略天皇段)에 보이는 장곡산구(長谷山口)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대화국(大和國) 성상군(城上郡) 장곡향(長谷鄕) 일대이다.
산구숙녜의 옛 성은 직(直), 한산구직(漢山口直)이고 후에 기촌(忌寸), 숙녜의 성으로 개성한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4년(785) 6월 계유조에 산구기촌(山口忌寸)은 판상기촌(坂上忌寸) 등 동족과 함께 숙녜의 성을 받았다. 산구기촌씨 중에는 『일본문덕천황실록』 천안(天安) 원년(857) 정월 경신조에 다른 동족과 함께 기촌(忌寸)에서 이미길(伊美吉)로 표기를 변경하였다.
산구숙녜씨의 일족으로는 산구기촌서성(山口忌寸西成)이 있다. 그의 졸전이 실려 있는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6년(864) 정월 갑진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산위(散位) 종5위하 산구이미길서성(山口伊美吉西成)이 졸(卒)하였고, 그는 우경인이라고 한다. 어려서 독서에는 태만하고 활쏘는 연습을 좋아했지만, 성인이 되어서는 마음을 고쳐 학문에 들어가 춘추명가로서 모시(毛詩), 주역에 뛰어났고, 급제하여 태재박사(太宰博士)에 서임되었지만, 관에 나아가지 않았다. 승화(承和) 초년에 대학직강(大學直講)에 보임되었고, 가상(嘉祥) 2년(849)에는 발해 국왕이 사신을 보냈을 때에 대학대윤(大學大允) 직에서 존문겸영객사(存問兼領客使)가 되어 가하국(加賀國)에 가서 발해 사절을 입경시켰다. 그는 대학의 조교에 보임되었고, 인수(仁壽) 3년(853)에 외종5위하, 제형(齊衡) 3년(856)에 종5위하를 받아 대화개(大和介)가 되었고, 천안(天安) 2년에는 기이개(紀伊介)로 전보되었다고 한다. 졸년 시의 나이는 63세라고 기록하고 있다.
산구숙녜씨 일족의 조상으로 기록에 남은 인물로는 한산산구직대구(漢山山口直大口)가 있다. 그는 법륭사 소장 「목조광목천조상기(木造廣目天造像記)」 에 “山口大口費上而次木 二人作也」(『寧樂遺文』 下-962)”라고 하여 법륭사 사천왕상의 하나인 광목천상을 만든 장인이며, 산구대구비(山口大口費)라고도 칭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서기』 백치(白雉) 원년(650) 시세조에는 한산구직대구(漢山口直大口)가 천불상을 조각하였다고 한다. 그는 불사(佛師)로서 오랜 기간 종사하였다.
산구이미기대마려(山口伊美伎大麻呂)는 『속일본기』 문무(文武) 4년(700) 5월 갑오조에 대보율령(大寶律令)의 찬정에 관여한 인물로 나온다. 산구기촌전주(山口忌寸田主)는 『속일본기』 양로 5년(721) 정월 갑술조에 산술가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아 국가의 인재로서 포상받았다. 『가전(家傳)』(하)에도 ‘역산유산구기촌전주(曆算有山口忌寸田主)’(『寧樂遺文』 下-886)라고 하여 역법에 뛰어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또 『속일본기』 천평(天平)2년(730) 3월 신해조에 “음양, 의술, 칠요(七曜) 반력(頒曆) 등은 국가의 주요한 도(道)이고, 이를 폐하거나 중지할 수 없다. 단 제 박사를 보건대 연령적으로 노쇠해서 가르칠 수 없다면 아마도 이들 업이 끊어질지 모른다”라고 하면서 제자를 가르칠 7인 중에 산구기촌전주의 이름이 보인다. 그는 당대에 이름을 날린 역산가였다. 이 밖에도 『속일본기』 천평승보 4년(752) 정월 계묘조에는 산구기촌인마려(山口忌寸人麻呂)라는 인물이 견신라사로 파견된 기록이 보인다.
2.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판상대숙녜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회원숙녜(檜原宿禰)」 조(813) 참조.
3. 도하직(都賀直)
도하직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회원숙녜」 조(813) 참조.
4. 도황직(都黃直)
이 인명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구숙녜(山口宿禰; 야마구치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