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왕(王)

왕(王)
 고려국(高麗國) 사람 종5위하 왕중문(王仲文)[법명(法名)은 동루(東樓)이다.]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왕(王)
왕(王)의 씨명은 고구려의 성(姓)인 왕(王)에서 유래한다.
왕씨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경운(慶雲) 원년(704) 정월 계사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왕경수(王敬受)가 있고, 동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11월 병인조에는 사적으로 주전(鑄錢)한 혐의로 왕청마려(王淸麻呂) 등 40인에게 주전부(鑄錢部)의 성을 내리고 출우국(出羽國)으로 유배를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정창원문서』 에도 다수의 왕씨 인명이 나온다. 천평(天平) 7년(735) 윤11월부 「상모국봉호조교역장(相模國封戶租交易帳)」(『大日本古文書』 1-640)에 왕선덕(王善德), 천평(天平) 10년(738) 2월 8일 「사경등행사수실(寫經等行事手實)」(동 7-143)에 왕국익(王國益), 천평 10년 10월 15일부 「사소소해안(寫疏所解案)」(동 24-226)에 왕광만려(王廣万呂), 천평승보(天平勝寶) 4년(752) 정월 26일부 「장황상지장(裝潢上紙帳)」(동 12-217)에 왕마양(王馬養), 천평보자(天平寶字) 6년(762) 8월 「미매가전용장(米賣價錢用帳)」(동 5-266)에 왕광도(王廣島)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평안유문(平安遺文)』 에도 다수 기록되어 있다. 왕칙종(王則宗, 金石文編-117), 왕장환(王藏丸, 金石文編-119), 왕시봉(王是奉, 金石文編-119), 왕위실(王爲實, 8-3077), 왕종직(王宗直, 8-3077), 왕위강(王爲綱, 8-3077) 등이 있다.
2. 왕중문(王仲文)
왕중문(王仲文)은 환속한 승려 출신이다. 『속일본기』 대보(大寶) 원년(701) 8월 임인조에 따르면, 그의 법명은 동루(東樓)이며 환속하여 왕중문(王中文)이라는 본성과 이름을 되돌렸다고 한다. 『정창원문서』 양로(養老) 2년(718) 이전의 「관인고시장(官人考試帳)」에는 “종6위하 행천문박사(行天文博士) 왕중문(王中文)[45세이며, 우경(右京)이다.]”이라고 하고, 태일(太一), 둔갑, 천문, 육임식(六壬式), 산술, 상지(相地) 등에 능하고, 점복의 효험이 가장 많고 최고라고 평하고 있다(『大日本古文書』 24-553). 그는 양로 2년 정월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되었다. 또 『속일본기』 양로 5년(721) 정월 갑술조에 문인과 무사는 국가가 중히 여기는 바이며 의학·점복·방술은 고금으로 숭상되어 온바 백료들 중에서 학업이 우수하고 사범이 될 만한 자에게 특별히 상을 주고 후생에게 장려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그중 우수한 관인 인재들 가운데 왕중문의 이름이 보인다. 『가전(家傳)』(하)에도 음양가로서 이름이 저견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왕(王)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