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풍원련(豐原連; 도요하라노무라지)

풍원련(豐原連; 도요하라노무라지)
 고려국(高麗國) 사람 상부왕충마려(上部王虫麻呂)로부터 나왔다.
 
【주석】
1. 풍원련(豐原連)
풍원련의 옛 성은 상부왕(上部王)이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61) 3월에 상부왕충마려(上部王虫麻呂)는 풍원련(豐原連)의 씨성을 받았다. 풍원련씨의 일족은 상기 풍원련충마려 이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상부왕씨(上部王氏)로는 『속일본기』 천평보자 5년(761) 3월 경자조에 상부왕미야대리(上部王彌夜大理) 등이 풍원조(豐原造)의 성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때 풍원조 성을 받은 상부왕미야대리와 풍원련 성을 받은 상부왕풍원련충마려는 동족으로 생각된다.
2. 상부왕충마려(上部王虫麻呂)
상부(上部)는 고구려 5부족의 하나이다. 『한원(翰苑)』 고려전(高麗傳) 「부귀오종(部貴五宗)」 에 인용된 『후한서』 에 순노부(順奴部)에 해당하며 동부(東部), 재부(在部), 청부(靑部) 등 다양한 명칭으로 나온다. 상부왕(上部王)은 씨명이다.
『일본서기』 천지 10년(671) 정월조에는 상부대상가루(上部大相可婁)가 고구려 사절로 일본에 온 기사가 보이고, 동년 8월조에도 귀국 기사가 나온다. 동 천무(天武) 2년(673) 8월조에 상부위두대형감자(上部位頭大兄邯子), 전부대형석간(前部大兄碩干) 등의 인명이 보이고, 동 천무 8년 2월조에도 상부대상환부(上部大相桓部) 등의 상부(上部)를 관칭한 고구려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상부(上部)가 씨명인 인명으로는 『정창원문서』 에 다수 나온다. 천평(天平) 15년(743)7월 12일부 「중궁직이안(中宮職移案)」(『大日本古文書』 8-219)에 상부만려(上部萬呂), 천평승보 3년 3월 「동대사노비장(東大寺奴婢帳)」(동 3-491)에 상부고리(上部古理)·상부백마려(上部白麻呂), 천평승보 2년 8월 28일부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동 25-133)에 상부고성수(上部高城守) 등이 나온다.
『속일본기』 천평 17년(745) 정월 을축조에 상부진선(上部眞善), 동 천평 18년 정월 경진조에 상부을마려(上部乙麻呂), 동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정월 계유조에 상부목(上部木) 등이 기록되어 있다. 동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53) 3월 경자조에 나오는 상부군족(上部君足)은 웅판조(雄坂造)로 개성하였다.
한편 『삼국사기』 온달전에 나오는 상부고씨(上部高氏)는 상부고성수(上部高城守)와 계보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고구려에서의 상부고씨는 상부 출신의 고씨라는 의미이고, 일본 측 소전에 보이는 가바네의 일부로서의 상부와는 성격이 다른 측면이 있다. 한편 앞의 상부 인명이 모두 고구려계 씨족이라고는 할 수 없다. 백제 역시 5부가 있고 『일본서기』 에도 상부, 하부 등을 관칭한 인명이 확인되고 있어 출자가 밝혀지지 않은 인명에 대해서 고구려계인지 백제계인지 명확히 판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풍원련(豐原連; 도요하라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