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숭산기촌(嵩山忌寸; 스세노이미키)

숭산기촌(嵩山忌寸; 스세노이미키)
 당인(唐人) 외종5위하[선전(船典)에게 녹(綠)을 주었다.] 장도광(張道光)이 입조하였다. 심유악(沈惟岳)과 같은 시기였다.
 
【주석】
1. 숭산기촌(嵩山忌寸)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784) 6월조에 당인(唐人) 정6위상 맹혜지(孟惠芝), 정6위상 장도광(張道光) 등에게 숭산기촌(嵩山忌寸)의 씨성을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숭산의 씨명은 중국 하남성 북부 소재의 산명에서 유래하며, 위치는 낙양의 남동쪽, 정주의 서쪽에 위치한다. 『유취국사』 78(賞賜, 연력 17년 6월조)에는 숭산기촌도광(嵩山忌寸道光)의 인명이 보인다.
2. 선전사록(船典賜綠)
선전(船典)은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53) 8월조에 “압수수관(押水手官) 월주(越州) 포생부(浦陽府) 철충상자금어대(折衝賞紫金魚袋) 심유악(沈惟岳) 등 9인”이라고 기록되어 있듯이 압수수관의 별칭인 듯하다. 사록(賜綠)은 『속일본기』 천평보자 5년(761) 8월조에 “압수수관(押水手官) 월주(越州) 포생부(浦陽府) 별장사록륙장십(別將賜綠陸張什) 등 30인”, 동 연력(延曆) 3년 6월조에 “당인 사록안자흠(唐人賜綠晏子欽), 사록서공경(賜綠徐公卿) 등”이라는 사례가 보인다. 사록에 대해 반신우(伴信友)는 본국에 있을 때 말하는 녹색(綠色) 의복을 주었다는 것으로 본다. 『구당서』 여복지(輿服志)에 정관(貞觀) 4년(862)에 제정한 ‘7품복(七品服) 녹(綠)’이라는 규정이 있어 사록은 6품 내지 7품의 관복으로 생각된다.
3. 심유악(沈惟岳)
『속일본기』 천평보자 5년(761) 8월조에 일본의 견당사가 귀국할 때 같이 온 사람 중에 “심유악(沈惟岳) 등 9인”이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9인 중의 1인으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숭산기촌(嵩山忌寸; 스세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