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이소지신(伊蘇志臣; 이소시노오미)

이소지신(伊蘇志臣; 이소시노오미)
 자야숙녜(滋野宿禰; 시게노노스쿠네)와 조상이 같으며 천도근명(天道根命; 아메노미치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이소지신(伊蘇志臣)
이소지(伊蘇志; 이소시)라는 씨명은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인수(仁壽)2년(852) 2월 을사조의 자야조신정주(滋野朝臣貞主)의 졸전에 “근신(勤臣), 즉 열심히 근무하는 신하라는 의미로 이소지신(伊蘇志臣)이라고 사성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이소지신은 옛 성이 유원조(楢原造)였다. 『속일본기』 천평승보 2년(750) 3월 무술조에 준하수(駿河守) 종5위하 유원조동인(楢原造東人) 등이 신성(臣姓)을 받았다. 또 동년 5월 병오조에 “이소지신동인(伊蘇志臣東人)의 친족 34인에게 이소지신족(伊蘇志臣族)이라는 씨성을 주었다”라고 적혀 있다.
유원조 일족은 『평성궁목간(平城宮木簡)』(1-82)에 나오는 유원조총마려(楢原造總麻呂), 천평승보 원년 8월 이후 「경사상일장(經師上日帳)」(『대일본고문서』 3-298 등)의 유원내만려(楢原內万呂)가 있다. 내만려는 「경사필묵지충장(經師筆墨紙充帳)」(『대일본고문서』10-418) 제34지(紙) 천평승보 2년 11월 4일에 시작된 표제에 이소지신내마려(伊蘇志臣內麻呂)가 있다. 그도 유원조동인이 천평승보 2년 3월 10일에 근신(伊蘇志)의 씨성을 받은 때에 이소지신에 사성된 듯하다. 그런데 천평 15년경 이미 내만려는 이소지라는 씨명을 칭하고 있다.
이소지신 일족은 이소지신내마려 외에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2년(835) 3월 계축조의 우경인(右京人) 근강소목(近江少目) 종7위하 이소지신광성(伊蘇志臣廣成), 대화국인(大和國人) 정6위상 이소지신인마려(伊蘇志臣人麻呂) 등이 있다. 광성 등은 승화 2년(835) 3월에 기숙녜(紀宿禰)의 씨성을 받았다. 또 이소지신인마려는 대화국인이므로 본조 이소지신씨의 후손이었던 것은 확실하다.
2. 자야숙녜동조(滋野宿禰同祖)
『일본삼대실록』 정관 원년(859) 12월 23일 계묘조의 자야조신정웅(滋野朝臣貞雄)의 졸전에서 “종4위상 섭진수(攝津守) 자야조신정웅의 졸전에서 정웅은 우경인이고 아버지 종5위상 가역(家譯)이 연력(延曆) 17년 이소지신을 고쳐 정야숙녜를 주었다”라고 적혀 있다.
자야숙녜는 우경 신별(하) 「자야숙녜」 조(471) 참조.
3. 천도근명(天道根命)
기이국조가(紀伊國造家)를 비롯한 기씨의 조상신으로 간주된다. 신혼신(神魂神)의 5세손으로 이소씨(伊蘇氏), 이소지(伊蘇志), 유원씨(楢原氏), 자야씨(滋野氏)의 조상이라 전해진다. 『선대구사본기』신대본기, 국조본기에는 신황산령존(神皇産靈尊)의 아들신인 천어식지명(天御食持命) 다음으로 천뢰조(川瀨造, 河瀨造) 등의 조상이라고 적혀 있다. 『신찬성씨록』 에는 대판직 외에 신혼명 혹은 신황산령존(神皇産靈尊)의 5세손으로 자야숙녜(滋野宿禰, 시게노스쿠네), 기직(紀直; 기노아타이), 대촌직전련(大村直田連; 오무라노아타이타노무라지), 천뢰조(川瀬造; 가와세노미야츠코) 등의 조상으로 나온다.
위의 「대판직(大坂直)」 조(560) 천도근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소지신(伊蘇志臣; 이소시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50_0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