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금부수(錦部首; 니시코리오비토)

금부수(錦部首; 니시코리오비토)
 같은 신의 12세손인 물부목대련(物部目大連; 모노노베노메노호무라지)의 후손이다.
 
【주석】
1. 금부수(錦部首)
금부(錦部; 니시코리)라는 씨명은 금직(錦織; 니시코리)이라고도 표기하며, 비단을 짜는 품부인 금부(錦部) 혹은 금직부(錦織部)의 반조씨족이었던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래 금직(錦織)은 일본어로 ‘니시키오리’, 즉 ‘니시키’라는 비단을 짠다는 뜻인데, 음이 축약되어 ‘니시코리’가 된 것이다. ‘금(錦, 니시키)’은 실을 미리 여러 가지 색으로 염색하여 천을 짜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므로 금(金)과 같이 귀한 것으로 여겼다고 한다. 본거지는 율령제하의 산성국(山城國) 애탕군(愛宕郡) 금부향(錦部鄕) 현재의 경도시(京都市) 좌경구(左京區) 성호원(聖護院) 일대이다.
금부수(錦部首)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금부수광우매(錦部首廣羽賣, 天平 5년경 「山背國愛宕郡計帳」 1-525)가 있다. 광우매는 산배국(山背國) 애탕군(愛宕郡) 사람인데, 이 군에는 금부직녜마려(錦部直禰麻呂, 상동1-516 등), 금부직광마려(錦部直廣麻呂, 상동 1-517), 금부직다마려(錦部直多麻呂, 상동1-517), 금부직도자매(錦部直刀自賣, 상동 1-517),금부직고도자매(錦部直古刀自賣, 상동 1-517), 금부직외도매(錦部直畏島賣, 상동 1-517), 금부직어부매(錦部直御富賣, 상동 1-520)의 사례처럼 금부직(錦部直)이라는 씨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나타난다. 금부직(錦部直)과 금부수(錦部首)는 모두 물부씨(物部氏)와 동족관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금부직녜마려의 호구(戶口) 중에 물부천대(物部千代, 상동 1-517)가 들어 있는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석천금직수허려사(石川錦織首許呂斯, 『일본서기』 仁德 41년 3월조 등), 금직수대석(錦織首大石, 『日本書紀』 欽明 31년 7월), 금직수승(錦織首僧, 『일본서기』 推古 18년 10월),금직수적저(錦織首赤猪, 『日本書紀』 舒明天皇 卽位前紀) 등 금직수(錦織首, 니시코리오비토) 등은 금부수(錦部首)의 일족이 아니고 하내국(河內國) 제번(諸蕃)의 금부련과 일족일 것이다. 금직수와 관련된 금부련에 대해서는 하내국 제번 「금부련」 조(1031) 금부련 참조.
2. 동신(同神)
요속일명(饒速日命)을 말한다.
3. 물부목대련(物部目大連)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에 의하면, 요속일명의 10세손인 물부이거불(物部伊莒弗)의 아들이고, 물부황산(物部荒山)의 아버지이며, 물부미여(物部尾輿)의 조부이다.
웅략(雄略)이 즉위하였을 때 평군신진조(平群臣眞鳥)가 대신(大臣)에 임명되었고, 물부련목은 대반련실옥(大伴連室屋)과 더불어 대련(大連)에 임명되었다(『日本書紀』雄略天皇 卽位前紀). 원년 3월조에는 웅략이 동녀군(童女君)이라는 채녀(采女)와 하룻밤을 같이 잤는데, 딸이 태어나자 웅략은 자신의 아이가 아니라고 의심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물부목대련이 그 아이가 웅략의 딸이라는 것을 납득시키자, 딸은 공주로 그 채녀는 비로 삼았다고 한다. 13년 3월조에는 치전근명(齒田根命)이라는 인물이 채녀 산변소도자(山邊小島子)와 간음하자, 물부목대련으로 하여금 꾸짖게 하고 치전근명의 근거지로 생각되는 이향장야읍(餌香長野邑)을 그에게 하사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또한 18년 8월무신조에는 웅략이 토대숙녜(菟代宿禰)와 물부목련(物部目連)에게 이세조일랑(伊勢朝日郞)을 치게 하였는데, 조일랑이 활을 잘 쏘아 토내숙녜가 감히 나아가지 못했는데, 물부목련이 방패를 든 부하를 앞세워 조일랑의 목을 베어 죽였다고 하였다. 이에 웅략이 토대숙녜가 거느리던 저사부(猪使部)를 물부목련에게 주었다고 한다.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天孫本紀)」 에도 물부진경련공(物部眞椋連公)의 아우 물부목대련공(物部目大連公)이 보이며, 그가 청녕천황(淸寧天皇) 때 대련이 되어 신궁의 재를 받들었다고 한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원년(717) 3월 계묘조의 석상조신마려(石上朝臣麻呂)의 훙전(薨傳)에 “대신은 웅략 대 물부목의 후손이며, 난파조 우마내(宇麻內)의 아들이다.(大臣泊瀬朝倉朝庭大連物部目之後. 難波朝衛部大華上宇麻乃之子也.)”이라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금부수(錦部首; 니시코리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