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안담숙녜(安曇宿禰; 아즈미노스쿠네)

안담숙녜(安曇宿禰; 아즈미노스쿠네)
 해신면적풍옥언신(海神綿積豐玉彦神; 와타노카미와타츠미토요타마히코노카미)의 아들 수고견명(穗高見命; 호타카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안담숙녜(安曇宿禰)
안담(安曇; 아즈미)이라는 씨명은 아담(阿曇; 아즈미)으로도 쓰며, 해인(海人; 아마)을 관장한다는 뜻의 ‘아마츠모치’를 축약하였다고 보는 설과 바다 혹은 해신을 뜻하는 해적(海績; 와타츠미)과 통하는 ‘아마츠미’를 축약한 것으로 보는 설이 있다. 안담숙녜의 원래 성은 연(連)이었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천무(天武) 13년(684) 12월 기묘조에 아담련(阿曇連)에게 숙녜(宿禰)라는 성을 주었다는 내용이 보인다.
연(連)이라는 성을 가진 인물로는 아담련빈자(阿曇連濱子, 『일본서기』 履中 即位前紀 등), 아담련비라부(阿曇連比羅夫, 『일본서기』 皇極 원년 을유조 등), 아담련백족(阿曇連百足, 孝德天皇代, 『播磨國風土記』 揖保郡 石海里條 등), 아담련태모(阿曇連太牟, 상동), 아담련협수(阿曇連頰垂, 『日本書紀』 齊明 3년 是歳條 등), 아담련도부(阿曇連稻敷, 『日本書紀』 天武 원년 3월 기유조 등) 등이 있다.
숙녜(宿禰)라는 성을 가진 인물로는, 아담숙녜충명(阿曇宿禰虫名, 『속일본기』 慶雲 원년 정월 계사조), 아담련숙녜판지(阿曇連宿禰坂持, 『속일본기』 養老 7년 정월 병자조), 아담숙녜도(阿曇宿禰刀, 『속일본기』 神龜 4년 정월 경자조 등), 안담숙녜충마려(安曇宿禰虫麻呂, 天平 10년 「淡路國正稅帳」, 『대일본고문서』 2-102 등), 안담숙녜광도(安曇宿禰廣道, 상동), 아담숙녜대족(阿曇宿禰大足, 『속일본기』 天平 18년 4월 계묘조 등), 안담숙녜삼국(安曇宿禰三國, 天平勝寶 7년 2월 『萬葉集』 20-4413 등), 안담숙녜석성(安曇宿禰石成, 『속일본기』 天平寶字 5년 정월 무자조 등), 안담숙녜정성(安曇宿禰淨成, 天平寶字 5년경 「神祇大輔中臣毛人等百七人歷名」, 『대일본고문서』15-131 등), 안담숙녜이녀(安曇宿禰夷女, 『속일본기』 天平寶字 6년 정월 계미조), 안담숙녜제계(安曇宿禰諸繼, 『속일본기』 寶龜 원년 11월 정축조), 안담숙녜도자(安曇宿禰刀自, 『속일본기』 寶龜 7년 정월 병신조), 안담숙녜일녀충(安曇宿禰日女虫, 『續日本紀』 天應 원년 2월임진조), 안담숙녜광길(安曇宿禰廣吉, 『續日本紀』 延曆 4년 정월 계묘조 등), 안담숙녜계성(安曇宿禰繼成, 『類聚國史』 87 配流 延曆 11년 3월 임신조), 안담숙녜대구(安曇宿禰大丘, 『日本後紀』 延曆 18년 12월 신묘조), 안담숙녜율상(安曇宿禰粟常, 『日本三代實錄』 貞觀 11년 정월 병인조 등) 등이 있다.
안담숙녜씨의 동족으로는 안담련(安曇連)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내국(河內國)신별(神別)의 「안담련」 조 참조. 또한 성이 없는 안담씨 및 아담씨로는 아담천족(阿曇千足, 『藤原宮跡出土木簡槪報』 24) 및 아담삼웅(阿曇三雄, 天平 5년 「隱岐國正稅帳」, 『대일본고문서』 1-456), 안담고액(安曇高額, 天平 7년경 「皇后宮職寫經所解」, 『대일본고문서』7-39 등), 아담오백만려(阿曇五百万呂, 天平 17년 9월 8일 「調鹽付札」, 『평성궁목간(平城宮木簡)』 1-127), 아담□마려(阿曇□麻呂, 상동), 아담만려(阿曇万呂, 天平 19년 4월 4일 「사경본경주문(寫經本經注文)」, 『대일본고문서』 9-287 등), 아담국의(阿曇國依, 天平 19년 10월 6일 「사경충지장(寫經充紙帳)」, 『대일본고문서』 2-700 등), 안담조(安曇鳥, 『平城宮木簡』 1-92), 안담전주(安曇田主, 『평성궁발굴조사출토목간개보(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2-5) 등이 있다. 그들 중에서 아담삼웅은 은기국(隱岐國) 해부군(海部郡) 소령(少領),아담오백만려와 아담□마려는 주방국(周防國) 길부군(吉敷郡) 신기향(神崎鄕) 사람이었다.
또 아담부(阿曇部, 혹은 安曇部)로는 아담부마신매(阿曇部馬身賣, 大寶 2년경 「豐後國戶籍斷簡」, 『대일본고문서』 1-215), 아담부아리매(阿曇部阿理賣, 상동), 아담부법제매(阿曇部法提賣, 상동) 등은 풍후국(豐後國) 사람이며, 아담부진양(安曇部眞羊, 天平寶字 8년 10월 「調布墨書銘」, 『영락유문(寧樂遺文)』 下-784)은 신농국(信濃國) 안담군(安曇郡) 전과향(前科鄕)의 호주이며, 안담부백도(安曇部百島, 『寧樂遺文』하-784)는 같은 군의 주장(主帳)이며 종7위상의 관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안담부속마려(安曇部粟麻呂, 『日本三代實錄』 貞觀 6년 8월 8일 壬戌條)는 아파국(阿波國) 명방군(名方郡) 사람으로 이품(二品) 치부경(治部卿) 겸 상륙국(常陸國) 태수(太守) 하양친왕(賀陽親王)의 가령(家令)인데 안담부라는 씨성을 안담숙녜(安曇宿禰)라는 성으로 고쳤는데, 안담백족숙녜(安曇百足宿禰)의 후예라고 주장하였다.
2. 해신면적풍옥언신(海神綿積豐玉彦神)
『고사기』 에서는 면진견신(綿津見神)이라고 하였고, 신신화생(神神化生) 단락에서 “다음으로 물 바닥에서 씻을 때 생겨난 신의 이름이 저진면진견신(底津綿津見神)이고 다음이 저통지남명(底筒之男命)이다. 물 중간에서 씻을 때 생겨난 신의 이름이 중진면진견신(中津綿津見神)이고 다음이 중통지남명(中筒之男命)이다. 물 위에서 씻을 때 생겨난 신의 이름이 상진면진견신(上津綿津見神)이고 다음이 상통지남명(上筒之男命)이다. 이 세 분의 면진견신(綿津見神)은 아담련(阿曇連) 등의 조상신인 이이도구신(以伊都久神)이다. 그러므로 아담련 등은 면진견신의 아들인 우도지일금척명(宇都志日金拆命)의 자손”이라고 하였다. 『일본서기』 는 소동명(少童命, 와타츠미노미코토)이라고 표기하여 세 신을 저진소동명(底津少童命), 중진소동명(中津少童命), 표진소동명(表津少童命)이라고 하고 아담련 등이 제사지내는 신이라고 하였다.
풍옥언신(豐玉彦神)이라는 이름은 『고사기』 의 행좌지비고(海佐知毘古)와 산좌지비고(山佐知毘古) 이야기 및 『일본서기』 의 해행(海幸)과 산행(山幸) 이야기에 풍옥비매명(豐玉昆賣命, 豐玉姬)의 아버지 이름으로 보인다.
3. 수고견명(穗高見命)
우경 신별(하) 「범해련(凡海連)」 조에 해신면적신(海神綿積神)의 아들로, 그리고 하내국 신별 「안담련(安曇連)」 조(678)에 면적신명(綿積神命)의 아들로 수고견명이 보인다. 『고사기』 신신화생단(神神化生段)에 면진견신(綿津見神)의 아들 우도지일금척명(宇都志日金拆命)이 수고견명과 동일 신일 가능성이 있다. 미정잡성(未定雑姓) 하내국(河內國)「안담련(安曇連)」 조에 보이는 우도사내하명(于都斯奈賀命)과 동일 신일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안담숙녜(安曇宿禰; 아즈미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30_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