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조취련(鳥取連; 도토리노무라지)

조취련(鳥取連; 도토리노무라지)
 각응혼명(角凝魂命; 츠누코리무스비노미코토)의 3세손 천탕하항명(天湯河桁命; 아메노유카하타나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수인천황(垂仁天皇; 스이닌텐노)의 황자 예진별명(譽津別命; 호무츠와케노미코토)이 나이 서른 살이 될 때까지 말을 하지 못하였다. 그때 날아가는 고니를 보고 묻기를 저것이 무엇이냐고 하였다. 이에 천황이 기뻐하여 천탕하항을 보내어 찾게 하였다. 출운국(出雲國)의 우야강(宇夜江)에 가서 잡아서 바쳤다. 천황이 크게 기뻐하여 곧 조취련(鳥取連)을 사성하였다.
 
【주석】
1. 조취련(鳥取連)
조취(鳥取)라는 씨명은 천탕하항명(天湯河桁命)이 예진별명(譽津別命)을 위하여 백조를 잡았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며, 조취련은 원래 조취부(鳥取部)의 반조씨족으로 원래는 조취조(鳥取造)였으나 천무천황 12년(683)에 연(連)이라는 성을 받았다.
조취련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 정월 기해조에 보이는 조취련대분(鳥取連大分)을 비롯하여 각종 고문서에 조취련도마려(鳥取連島麻呂), 조취련어부(鳥取連御扶), 조취련국마려(鳥取連國麻呂), 조취련억명고(鳥取連億鳴古) 등이 보인다. 등원궁(藤原宮) 목간에 조취련수마려(鳥取連首麻呂)가 보인다(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98, 『飛鳥藤原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3-1130).
2. 각응혼명(角凝魂命)
각응명(角凝命), 천각기리명(天角己利命)이라고도 표기하며, 신혼명(神魂命)의 아들이고 이좌포혼(伊佐布魂)의 아버지로 전한다.
3. 천탕하항명(天湯河桁命)
천탕하판명(天湯河板命; 아메노유카하타나노미코토), 천탕하판거(天湯河板擧; 아메노유카하타나노미코토), 천탕천전나(天湯川田奈; 아메노유카하타나) 등으로 표기하였다. 각응혼명의 4세손으로도 나타나며, 13세손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백원시(柏原市) 고정전(高井田)에 있는 천탕천전신사(天湯川田神社)는 천탕하붕명(天湯河棚命; 아메노유카하타나노미코토)을 제신으로 모시고 있다.
4. 수인천황(垂仁天皇)
제11대 천황으로 숭신천황(崇神天皇)의 아들이며 경행천황(景行天皇)의 아버지로 전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취련(鳥取連; 도토리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