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교련(高橋連; 다카하시노무라지)

고교련(高橋連; 다카하시노무라지)
 위와 같다.
 
【주석】
1. 고교련(高橋連)
고교(高橋; 다카하시)라는 씨명은 고교(高橋; 다카하시)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다. 고교(高橋; 다카하시)는 고의(高椅; 다카하시)로도 표기된다. 고교(高橋)는 『일본서기』 숭신천황 8년 하4월 을묘조에 ‘고교읍(高橋邑; 다카하시노무라)’이 보이고, 무열천황 즉위전기의 가요에 ‘타개파지(柁箇播志; 다카하시)’가 보이며, 『만엽집』 권12 2997번가(番歌)에 ‘고교(高橋)’가 보인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 천리시(天理市) 역본정(櫟本町)이다.
육국사에서 고교련씨는 『속일본기』 에만 세 명이 등장한다. 천평승보 6년(754) 2월 병술조에서 과거 천평 7년(735)에 항해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적은 패(牌)를 세우기 위해 고교련우양(高橋連牛養)을 남도(南島)에 파견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후 등장하는 고교련씨는 고교련파자미녀(高橋連波自米女)이다. 대마도(對馬島) 상현군(上縣郡) 사람 고교련파자미녀가 남편이 죽은 후에 수절하였고 시아버지가 죽자 무덤가에 움막을 짓고 매일 잿밥을 올려 효성이 지극하였으므로, 768년 2월에 그를 기려 정문을 지어 주고 죽을 때까지 조(租)의 납부를 면제해 주었다고 한다. 육국사에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고교련씨는 고교련응주(高橋連鷹主)로 776년 1월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서되었다.
고교련씨는 등원궁(藤原宮) 목간(木簡)에 고의련도자(高椅連刀自), 고의련(高椅連)이 보인다. 그 외에 『만엽집』 3권에 천평 4년(732) 고교련충마(高橋連虫麿)가 보인다. 고문서에서는 천평승보 4년(752) 6월 7일부 「고의련을마려삼천대련흑마려해(高椅連乙麻呂三千代連黑麻呂解)」(『대일본고문서』 12-311)에 고의련을마려(高椅連乙麻呂)가 보인다. 천평신호 2년(765) 10월 21일부 「월전국사해(越前國司解)」(『대일본고문서』5-476)에 월전국 판정군(坂井郡) 황묘향(荒墓鄕)의 호주(戶主) 고교련안상(高橋連安床)과 호구(戶口)고교련승마려(高橋連繩麻呂)가 보인다. 『일본영이기』 중권에는 이하국(伊賀國) 산전군(山田郡) 담대리(噉代里)에 사는 고교련동인(高橋連東人)이 보인다.
고교련씨는 『신찬성씨록』 산성국 신별과 하내국 신별에도 보인다. 고교련씨가 등원경, 평안경의 우경, 산성국, 하내국, 월전국, 이하국, 대마도 등지에 널리 분포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동상(同上)
『신찬성씨록』 완본에서는 ‘신요속일명칠세손대신하명지후야(神饒速日命七世孫大新河命之後也)’라고 적혀 있었을 것이다. 한편 산성국 신별의 고교련씨는 ‘동신십이세손소전숙녜지후야(同神十二世孫小前宿禰之後也)’라고 하며, 하내국 신별의 고교련씨는 ‘동신십사세손이기포도대련지후야(同神十四世孫伊己布都大連之後也)’라고 하였다. 동신(同神)은 신요속일명이므로, 신요속일명의 후손을 자신들의 시조로 놓은 점은 공통이다. 그러나 그 조상은 신요속일명의 7세손(우경의 고교련씨), 신요속일명의 12세손(산성국의 고교련씨), 신요속일명의 14세손(하내국의 고교련씨)으로 다르다.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에서는 고교련씨의 조상을 요속일명(신요속일명)의 13세손 물부미여련공(物部尾輿連公)의 동생 물부건언련공(物部建彦連公)으로 기록하고 있다. 즉 물부건언련공은 신요속일명의 13세손이 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교련(高橋連; 다카하시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