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백제가 진모귀문(眞牟貴文), 기주기루(己州己婁) 등을 보냄

가을 9월에 백제 성명왕이 전부(前部) 나솔(奈率 ) 진모귀문(眞牟貴文) 주 001
번역주 001)
『주서』 백제전에 따르면 백제의 왕도는 前部, 後部, 中部, 上部, 下部의 5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眞牟는 백제 대성8족의 하나인 眞씨의 복성표기로 眞慕 혹은 姐彌라고도 한다. 文貴는 이름이다. 『日本書紀』 계체천황 7년(513) 6월조에 보이는 姐彌文貴와 동일인일 가능성이 크다.
닫기
, 호덕(護德) 기주기루(己州己婁) 주 002
번역주 002)
『日本書紀』 안한천황 원년(534) 5월조에 上部都德己州己婁로 나온다. 都德과 護德 모두 백제 16계 관등에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都德은 護德보다 낮은 관등이었을 가능성이 크고, 護德은 제9위인 固德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닫기
, 물부(物部) 시덕(施德) 마기모(麻奇牟) 주 003
번역주 003)
왜계백제관료(『日本書紀』 흠명천황 2년 추7월조 紀臣奈率彌麻沙 참조)의 한 사람이다. 『日本書紀』 흠명천황 15년(554) 12월조에 東方令 物部莫哥武連으로 나온다.
닫기
등을 보내어 부남(扶南)의 보물주 004
번역주 004)
扶南은 인도차이나반도의 캄보디아 크메르지역에 있던 국가다. 백제가 남조 梁과의 교류를 통해 부남의 재물을 입수한 것으로 보인다.
닫기
과 노(奴) 2구를 바쳤다.

  • 번역주 001)
    『주서』 백제전에 따르면 백제의 왕도는 前部, 後部, 中部, 上部, 下部의 5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眞牟는 백제 대성8족의 하나인 眞씨의 복성표기로 眞慕 혹은 姐彌라고도 한다. 文貴는 이름이다. 『日本書紀』 계체천황 7년(513) 6월조에 보이는 姐彌文貴와 동일인일 가능성이 크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日本書紀』 안한천황 원년(534) 5월조에 上部都德己州己婁로 나온다. 都德과 護德 모두 백제 16계 관등에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都德은 護德보다 낮은 관등이었을 가능성이 크고, 護德은 제9위인 固德으로 추정되기도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왜계백제관료(『日本書紀』 흠명천황 2년 추7월조 紀臣奈率彌麻沙 참조)의 한 사람이다. 『日本書紀』 흠명천황 15년(554) 12월조에 東方令 物部莫哥武連으로 나온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扶南은 인도차이나반도의 캄보디아 크메르지역에 있던 국가다. 백제가 남조 梁과의 교류를 통해 부남의 재물을 입수한 것으로 보인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성명왕, 진모귀문(眞牟貴文), 기주기루(己州己婁), 마기모(麻奇牟)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가 진모귀문(眞牟貴文), 기주기루(己州己婁) 등을 보냄 자료번호 : ns.k_0032_005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