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동해 송정동 유적

  • 저필자
    오용제
  • 날짜
    1996·1999·2000
  • 시대
    철기시대(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산 7-1 일원
  • 시대
    상고사
  • 유형
    생활
입지
1996년 관동대학교 박물관이 유적의 남쪽 부분인 동해항만 확장지역에서 발굴을 실시, 1999년과 2000년에는 강릉대학교 박물관이 송정동 중심도로 건설지역과 인근지역에서 초기철기시대 주거지 45기와 9기를 각기 발굴, 2004년 강원문화재연구소가 시굴하여 주거지 약 40여 기와 원형유구, 적석유구 등을 조사.
유적개관
송정동 중심도로 건설지역과 인근지역에서 초기철기시대 주거지 45기와 9기를 각각 발굴하여 송정동 일대가 당시 대규모의 마을이 형성되었던 곳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주거지는 대부분 철(凸)자형 움집이었으며, 벽은 판자를 이용하였고 화덕자리에는 점토띠식, 아궁이식, 무시설식 등 다양하였다. 특히 2호 집자리에서는 송풍관, 철기, 쇠 찌거기 등이 발견되었는데 철기제조공방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
* 시루 1점, 10여 개의 토기, 쇠도끼 1점, 쇠화살촉 2점, 쇠작살 1점, 은제귀걸이, 관옥, 곡옥, 유리구슬, 무늬 없는 토기 등
참고문헌
문화재청
해설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일대 전천의 하류 북쪽의 3~4m 높이의 해안사구에 위치하고 있는 철기시대 유적이다.
동해시 송정동 일대는 1996년, 동해항 항만확장공사 때 관동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한 뒤, 1999년 송정동 중심도로 건설 과정에서 철기시대 집자리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과 2000년에 걸쳐 강릉대학교 박물관에서 도로공사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60기의 철기시대 집자리를 확인하였다. 그 이후로도 2004년 송정동 주택건설사업지구 조사에서도 약 40기의 철기시대 집자리가 확인되었으며, 2005년, 송정동 621-2번지에서는 송풍관 조각과 슬러그가 확인되어 제철시설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 외에도 소규모 발굴조사가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송정동 1039-5번지에서 집자리 1기, 851-6번지에서는 수혈유구가 확인되었으며, 2006년에는 958-8번지에서 철기시대 집자리 6기, 수혈유구 7기가 확인되었고, 2007년 도로개설부지와 주택신축부지에서 철기시대 주거지 7기, 구상유구 2기가 확인되었다. 2009년에는 송정 I지구와 송정 II지구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어 철기시대 집자리 15기, 수혈유구 26기, 구상유구 1기 등이 조사되었다., 2005년에는 송정동 일대가 강원도 기념물 제84호로 지정되었다.
유적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자리들은 대부분 철(凸)자형 집자리 혹은 소형 유구이며 출입구가 남쪽을 향하고 집자리 안쪽, 즉 북쪽에 치우친 부분에 화덕이 설치되는 점은 영동지방의 철기시대 다른 유적들과 유사하다. 일부 집자리에서는 저장용 토기들을 한 곳에 묻어두고 사용하는 양상도 나타난다. 다수의 집자리에서 철제 유물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중심도로 건설지역의 I-2호 주거지에서는 철재, 노 바닥, 철 덩어리 등이 출토되고 있어 철 생산과 관련된 활동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집자리들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확인되고 있어 오랜 기간에 걸쳐 마을이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주로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가 확인되나, 그 외에도 회청색타날문토기(灰靑色打捺文土器), 회청색경질토기, 회청색연질토기(瓦質土器)를 비롯하여 시루, 굽다리바리(臺附鉢) 등 다양한 형태의 토기들이 확인되고 있다. 철제 도구 역시 철제 낫(鐵鎌), 철제 손칼(鐵刀子), 철도끼(鐵斧), 철제 화살촉(鐵鏃)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송정동 유적은 동해안 일대 철기시대 마을유적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유적 전체 면적은 약 83,000평으로 추정된다. 이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의 집자리의 밀도를 유적 전체에 적용하면 약 1,600여 가구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규모를 근거로 일각에서는 송정동 유적을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다고 전해져 오는 실직국(悉直國)과 연결시키기도 한다. 집자리의 수나 서로 겹쳐져있는 양상으로 볼 때 송정동 유적은 오랜 기간 동안 존속했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중심연대는 기원후 3~4세기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해 송정동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1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