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태사공(太史公)의 말

  • 국가
    서남이(西南夷)
태사공(太史公)이 말한다. 초(楚)의 선조에게 무슨 하늘의 녹[天祿]이 있었던가? 주대(周代)에 문왕(文王)의 사(師)가 되어 초(楚)에 봉(封)해졌다.주 001
각주 001)
『史記』 「楚世家」에 따르면, ‘文王의 師’는 季連의 묘예 鬻熊(『史記』 卷40 「楚世家」 第10, 1691쪽)을 지칭하는 것이다. 鬻熊은 요절하였으나, 성왕시에 그 공을 인정받아 子爵에 추증되어 ‘子男의 땅’, 즉 방50리의 땅에 封建되었다. 楚武王은 隨人을 정벌한 뒤 姬姓인 수인을 통해 周 왕실에 號를 높여 주기를 청하였다. 주 왕실이 이를 거절하자 스스로 호를 높여 왕이라 칭하면서 “나의 선조 鬻熊 文王의 師이었다.”라고 말한 바 있다(『史記』 卷40 「楚世家」 第10, 1695쪽).
닫기
주나라가 쇠미하게 되었을 때는 그 땅이 오천 里라고 칭할 정도였다. 진(秦)이 제후(諸侯)주 002
각주 002)
중화서국본에는 ‘諸候’로 되어 있으나, 문맥상 이는 ‘諸侯’로 바꾸어야 한다.
닫기
를 멸하였으나, 오직 의 먼 후손으로 오히려 전왕(滇王)이 있었다. 한(漢)이 서남이를 주멸하여, 국(國)이 대부분 멸망하였으나, 오직 만은 다시 총애받는 왕이 되었다. 그러나 남이(南夷) 정벌의 발단이 구장(枸醬)과 번우(番禺) 그리고 대하(大夏)의 지팡이과 공(邛)의 대나무에 있었다. 서이(西夷)는 나중에 나뉘어주 003
각주 003)
『集解』는 『漢書音義』를 인용하여 말하기를, “(揃의) 音은 ‘翦’이다.”라고 하였다(漢書音義曰 : 「音翦.」).
『索隱』도 (揃의) 音은 ‘剪’이라 하였으며, 揃은 分割되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音剪. 揃謂被分割也).
닫기
흩어져서 두 지방으로 나뉘었으며,주 004
각주 004)
『索隱』은 ‘剽’에 대하여 音이 匹과 妙의 반절이라 하였고, 西夷가 나중에 나뉘고 몰리고 쫓겨 마침내는 흩어져 西·南 두 지방에 居하여 각기 郡縣에 屬하게 되었음을 말한다고 하였다. 또, 剽 또한 ‘分’의 뜻이라고 하였다(剽音匹妙反. 言西夷後被揃迫逐, 遂剽居西南二方, 各屬郡縣. 剽亦分義).
닫기
끝내 일곱 개의 군(郡)이 되었다.주 005
각주 005)
『集解』는 徐廣의 말을 인용하여, “犍爲郡·牂柯郡·越嶲郡·益州郡·武都郡·沈犂郡·汶山郡의 땅이다.”라고 하였다(徐廣曰 : 「犍爲·牂柯·越嶲·益州·武都·沈犂·汶山地也.」).
닫기


  • 각주 001)
    『史記』 「楚世家」에 따르면, ‘文王의 師’는 季連의 묘예 鬻熊(『史記』 卷40 「楚世家」 第10, 1691쪽)을 지칭하는 것이다. 鬻熊은 요절하였으나, 성왕시에 그 공을 인정받아 子爵에 추증되어 ‘子男의 땅’, 즉 방50리의 땅에 封建되었다. 楚武王은 隨人을 정벌한 뒤 姬姓인 수인을 통해 周 왕실에 號를 높여 주기를 청하였다. 주 왕실이 이를 거절하자 스스로 호를 높여 왕이라 칭하면서 “나의 선조 鬻熊 文王의 師이었다.”라고 말한 바 있다(『史記』 卷40 「楚世家」 第10, 1695쪽).
     바로가기
  • 각주 002)
    중화서국본에는 ‘諸候’로 되어 있으나, 문맥상 이는 ‘諸侯’로 바꾸어야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集解』는 『漢書音義』를 인용하여 말하기를, “(揃의) 音은 ‘翦’이다.”라고 하였다(漢書音義曰 : 「音翦.」).
    『索隱』도 (揃의) 音은 ‘剪’이라 하였으며, 揃은 分割되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音剪. 揃謂被分割也).
     바로가기
  • 각주 004)
    『索隱』은 ‘剽’에 대하여 音이 匹과 妙의 반절이라 하였고, 西夷가 나중에 나뉘고 몰리고 쫓겨 마침내는 흩어져 西·南 두 지방에 居하여 각기 郡縣에 屬하게 되었음을 말한다고 하였다. 또, 剽 또한 ‘分’의 뜻이라고 하였다(剽音匹妙反. 言西夷後被揃迫逐, 遂剽居西南二方, 各屬郡縣. 剽亦分義).
     바로가기
  • 각주 005)
    『集解』는 徐廣의 말을 인용하여, “犍爲郡·牂柯郡·越嶲郡·益州郡·武都郡·沈犂郡·汶山郡의 땅이다.”라고 하였다(徐廣曰 : 「犍爲·牂柯·越嶲·益州·武都·沈犂·汶山地也.」).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태사공(太史公), 문왕(文王)
지명
초(楚), 초(楚), 주나라, 진(秦), , 한(漢), , 번우(番禺), 대하(大夏)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태사공(太史公)의 말 자료번호 : jo.k_0001_0116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