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동이전

신라의 성립과 풍속, 제도

新羅者, 其先本辰韓種也.
辰韓亦曰, 秦韓, 相去주 001
교감주 001)
「去」 : 남감본 「夫」, 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去」. 문맥상 「去」로 교감.
닫기
萬里, 傳言秦世亡人避役來適馬韓, 馬韓亦割其東界, 居之以秦人, 故名之曰, 秦韓. 其言語名物, 有似中國人, 名國爲邦, 弓爲弧, 賊爲寇, 行酒爲行觴. 相呼皆爲徒, 不與馬韓同. 又辰韓王常用馬韓人作之, 世相係, 辰韓不得自立爲王, 明其流移之人故也. 恒爲馬韓所制.
辰韓始有六國, 稍分爲十二, 新羅則其一也. 其國在百濟東南五千餘里. 其地東濱大海, 南北與句驪·百濟接. 魏時曰, 新盧, 宋時曰, 新羅, 或曰, 斯羅. 其國小, 不能自通使聘. 普通二年, 王名募秦,주 002
교감주 002)
「秦」 : 남감본·무영전본 「王名募泰」, 급고각본·백납본 「王募名秦」. 중화서국 「王姓募名秦」.
닫기
始使使隨百濟奉獻方物.
其俗呼城曰, 健牟羅, 其邑在內曰, 啄주 003
교감주 003)
「啄」 : 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 「 」, 급고각본 「啄」.
닫기
評, 在外曰, 邑勒, 亦中國之言郡縣也. 國有六주 004
교감주 004)
「啄」 : 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 「 」, 급고각본 「啄」.
닫기
評, 五十二邑勒. 土地肥美, 宜植五穀. 多桑麻, 作縑布. 服牛乘馬. 男女有別.
其官名, 有子賁旱支·齊旱支·謁旱支·壹告支·奇貝旱支.
其冠曰, 遺子禮, 襦曰, 尉解, 袴曰, 柯半, 靴曰, 洗. 其拜及行與高驪相類. 無文字, 刻木爲 信. 語言待百濟而後通焉.

  • 교감주 001)
    「去」 : 남감본 「夫」, 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去」. 문맥상 「去」로 교감. 바로가기
  • 교감주 002)
    「秦」 : 남감본·무영전본 「王名募泰」, 급고각본·백납본 「王募名秦」. 중화서국 「王姓募名秦」.바로가기
  • 교감주 003)
    「啄」 : 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 「 」, 급고각본 「啄」. 바로가기
  • 교감주 004)
    「啄」 : 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 「 」, 급고각본 「啄」.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新羅, 辰韓, 辰韓, 秦韓, 馬韓, 秦韓, 辰韓, 馬韓, 辰韓, 百濟, 新盧, 新羅, 斯羅, 百濟, 高驪, 百濟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신라의 성립과 풍속, 제도 자료번호 : jd.d_0008_0054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