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무등리2보루

舞登里2堡壘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325m 이상
입지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 소재의 장대봉 정상부에 위치한다. 보루의 동쪽에 임진강이 인접해 있어, 주변의 움직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과거 마전현과 연천을 잇던 유연진 나루터를 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입지한다.
유적개관
2010~2012년에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 하였다. 전체 둘레는 325m이상이며, 발굴조사를 통해 목책을 폐기하고 석축 성벽을 쌓았음이 밝혀졌다. 보루에서는 석축 치 2기와 함께 방형 석축유구와 배수로, 보루의 상면을 감싸는 석축축대, 돌확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돌확 옆 석축 유구에서는 고구려 장수의 갑옷(투구와 상의 1개체) 한 벌이 그대로 주저앉은 채 발견되었다. 유적에서는 석축 성벽을 따라 외부에 다량의 탄화된 목재들과 벽체편이 출토되고 있어, 불을 질러 보루를 의도적으로 폐기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출토유물
* 토기, 찰갑, 망태기형 철기, 탄화미, 슬래그, 기와편 소량
참고문헌
약보고서, 2012
해설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의 장대봉 정상부(해발97m)에 위치한 고구려 보루이다. 장대봉은 임진강 서쪽 언덕에 접하여 두 개의 봉우리가 남북으로 내응하고 있는데, 남쪽에 위치한 봉우리에 1보루가 있고 북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봉우리에 2보루가 있다. 장대봉 정상부를 머리띠식으로 둘러가며 보루를 쌓았다. 해발 100m 내외의 작은 봉우리에 불과하지만 주변에서 가장 높고, 동쪽으로 임진강이 인접해 있어 강 건너편의 움직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마전현 진도조에 의하면 마전현과 연천을 잇던 유연나루(楡淵津), 즉 현재의 군남현 진상리와 왕징면 무등리 사이를 잇는 나루터를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1991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한 군사보호구역 내 지표조사를 통해 처음 소개된 이후 토지박물관, 경기도박물관 등에 의해 간략한 지표조사가 실시되었다. 보루 내 고구려 유구(遺構)가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자 2010년 4~6월 연천군 의뢰로 ‘경기 고구려 유적에 대한 종합 정비계획’에 따른 무등리 2보루 시굴조사를 했고, 2011~2012년에는 유적 전체를 대상으로 성벽의 범위 및 기본 유구의 현황 파악을 위해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 하였다.
발굴조사 결과 나무울타리[목책(木柵)]를 폐기하고 석축 성벽을 쌓았음이 밝혀졌다. 유적의 평면 형태는 남북으로 길고 가운데가 구부러진 반달모양으로 둘레는 244m 정도이다. 성의 남쪽과 동쪽은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편이다. 1999년 강변 쪽 절벽이 홍수로 유실되면서 성벽의 단면 일부가 도출되었는데, 강돌[천석(川石)]과 깬돌[할석(割石)]로 축조한 석축시설이 5~6m 높이로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보루에서는 돌로 쌓은 치성(雉城) 2기와 함께 네모난 석축유구, 배수로가 발견되었다. 또, 성 내부의 평탄면을 따라 건물지 조성을 위한 석축 축대시설과 출입시설과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돌확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돌확 옆 석축 유구에서는 고구려 장수의 투구와 상의 갑옷 한 개체가 그대로 주저앉은 채 발견되었다. 문지는 계곡을 감싸고 돌아가는 지점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유물로는 성 안에서 많은 양의 고구려 토기조각과 약간의 기왓조각, 철촉 등이 발견되었다. 토기조각은 대부분 항아리모양이며 홍갈색이나 황갈색의 무른[연질(軟質)]토기이다. 철촉은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구려 무기의 화살촉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에 접한 낭떠러지의 단면에서 불탄 곡물도 발견되었는데 이로 보아 이 부군에 대규모의 군량미(軍糧米) 창고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석축 성벽을 따라 외부에 다량의 불탄 목재들과 벽체편이 출토되고 있어, 불을 질러 보루를 의도적으로 폐기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출토 유물과 여러 정황으로 보아 4세기 말엽부터 7세기 중엽까지 고구려의 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무등리2보루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20_014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