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15~16세기 동아시아는 중국[明]의 책봉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다. 책봉체제를 전제로 명과 피책봉국 사이에는 조공관계가, 피책봉국 상호간에는 교린 관계가 형성되었다. 명 주변국가의 조공사절은 명이 지정한 특정한 장소에서 교역하는 것이 의무였다. 조공체제는 민간교역을 금지하고, 국가의 통제하에서 무역을 하게 하는 경제적인 측면도 있었다. 외국과의 교류를 국가가 독점하는 해금(海禁)정책을 실시했지만, 민간교역을 막을 수는 없었다.주 429
각주 429)
上田信(2005), 『海と帝國 明淸時代』(中國の歷史 9), 東京 : 講談社, 101~103쪽
닫기

16세기에 조선, 중국[명], 일본 삼국의 교역망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물품은 중국산 생사와 비단, 일본산 은이다. 은은 동아시아 교역망에서 지금의 달러(dollar)와 같은 지불수단이었다. 일본은 은 생산국, 중국은 은 소비국으로 나누어지면서 일본-중국 간의 교역망이 형성되었다. 은은 일본-중국을 통해서만 유통된 것은 아니다. 조선은 일본-중국의 중간에 서서 생사와 은의 중개무역을 담당하였다. 중국으로 유입된 은은 일본의 은만 아니었다. 아메리카의 은이 동남아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들어갔다. 중국은 세계사적인 은 유통의 최종 수요자였다. 16세기 이후 은은 동아시아 지역 내부의 교역망은 물론, 동아시아-유럽-아메리카 교역망 형성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6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교역망은 은 유통을 핵심으로 형성되어 갔다.

  • 각주 429)
    上田信(2005), 『海と帝國 明淸時代』(中國の歷史 9), 東京 : 講談社, 101~103쪽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6~18세기 동아시아 교역망과 은 유통 자료번호 : edeah.d_0004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