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당태종(唐太宗)의 고려 정벌 실패에 대한 여몽정(呂蒙正)의 상언

  • 날짜
    1002년 6월 (음)(咸平 5年(1002) 6月 戊寅)
  • 출전
    卷52 咸平 5年(1002) 6月 戊寅
여몽정(呂蒙正)주 001
각주 001)
呂蒙正 : 944∼1011. 북송의 관인. 字는 聖功이고 河南 洛陽 사람이다. 태종 太平興國 2年(977)에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將作監丞, 通判升州 등을 지냈다. 3번 재상에 올라 許国公에 봉해졌다. 그는 사람됨이 아량이 넓고 정직하였으며, 윗사람에게는 예의를 갖추고 아랫사람에게는 관대하고 아량있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眞宗 大中祥符 4年(1011)에 죽으니, 시호를 文穆이라 하였으며, 中書令에 추증되었다.
닫기
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당태종(唐太宗)주 002
각주 002)
唐太宗 : 598∼649, 재위 626∼649. 당의 2대 황제. 이름은 世民이다. 高祖 이연의 아들로, 626년 현무문의 변을 통해 황태자를 죽인 후 고조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의 치세 기간을 ‘정관의 치’라고 할 만큼 안정적인 통치를 시행하였고 동돌궐, 고구려, 설연타 등을 정복하여 영토도 크게 넓혔다.
닫기
이 고려를 정벌할 때 친히 나섰으나 그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돌아왔습니다. 수양제(隋煬帝)주 003
각주 003)
隋煬帝 : 569∼618, 재위 604∼618. 수의 2대 황제. 이름은 廣이다. 수나라를 세운 文帝 楊堅의 둘째 아들로 대운하의 건설, 고구려 원정 등 대규모 토목 공사와 전쟁을 많이 일으켜 결국 수의 멸망을 가져왔다.
닫기
가 요동(遼東)주 004
각주 004)
遼東 : 구체적으로는 현재 요녕성의 남쪽에 위치해 서해 발해만에 닿아있는 요동 반도 지역을 말하나, 역사적으로는 중국과 한반도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고조선을 비롯해 고구려, 발해, 거란(요) 등이 일어났으며, 이 기록에서는 隋煬帝가 정복하고자 한 ‘고구려’를 구체적으로 의미한다.
닫기
을 정벌했는데 도적떼가 일어나기에 이르렀습니다. 전날의 교훈이 멀지 않은데 당태종이 뒤따라 그것을 행한 것은 식자(識者)가 취할 바가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황제가 그 말이 깊이 옳다고 여겼다.

  • 각주 001)
    呂蒙正 : 944∼1011. 북송의 관인. 字는 聖功이고 河南 洛陽 사람이다. 태종 太平興國 2年(977)에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將作監丞, 通判升州 등을 지냈다. 3번 재상에 올라 許国公에 봉해졌다. 그는 사람됨이 아량이 넓고 정직하였으며, 윗사람에게는 예의를 갖추고 아랫사람에게는 관대하고 아량있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眞宗 大中祥符 4年(1011)에 죽으니, 시호를 文穆이라 하였으며, 中書令에 추증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唐太宗 : 598∼649, 재위 626∼649. 당의 2대 황제. 이름은 世民이다. 高祖 이연의 아들로, 626년 현무문의 변을 통해 황태자를 죽인 후 고조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의 치세 기간을 ‘정관의 치’라고 할 만큼 안정적인 통치를 시행하였고 동돌궐, 고구려, 설연타 등을 정복하여 영토도 크게 넓혔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隋煬帝 : 569∼618, 재위 604∼618. 수의 2대 황제. 이름은 廣이다. 수나라를 세운 文帝 楊堅의 둘째 아들로 대운하의 건설, 고구려 원정 등 대규모 토목 공사와 전쟁을 많이 일으켜 결국 수의 멸망을 가져왔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遼東 : 구체적으로는 현재 요녕성의 남쪽에 위치해 서해 발해만에 닿아있는 요동 반도 지역을 말하나, 역사적으로는 중국과 한반도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고조선을 비롯해 고구려, 발해, 거란(요) 등이 일어났으며, 이 기록에서는 隋煬帝가 정복하고자 한 ‘고구려’를 구체적으로 의미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당태종(唐太宗)의 고려 정벌 실패에 대한 여몽정(呂蒙正)의 상언 자료번호 : jt.k_0003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