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덕현리유적

  • 저필자
    황재훈(서울대학교)
  • 날짜
    2005
  • 시대
    철기시대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 355-20번지 일원
  • 시대
    상고사
  • 유형
    기타
입지
한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2005년 발굴 조사됨.
유적개관
‘철(凸)’자형으로 추정되는 1호주거지와 2호주거지에서는 유사한 형식의 부뚜막시설과 점토띠식 노지가 확인되었으며, 주거지 바닥은 진흙으로 다짐처리를 하였다. 3호주거지의 경우 1호·2호 주거지와 마찬가지로 ‘철(凸)’자형으로 추정되며, 주거지 바닥 역시 진흙으로 다짐처리를 하였다. 이 외에도 수혈유구 2기가 조사되었는데 수혈유구 1기는 성격을 파악할 수 없었으며, 수혈유구 2의 경우는 조사지역 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종류의 토기편이 모두 나타나고 있어 폐기장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
*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회청색 경질토기, 철촉 등
참고문헌
「청평-현리 도로건설구간 중 매장문화재 발굴조사(C지구) 약보고서」, 한림대학교박물관, 2005
해설
가평군은 경기도 동북부 산간지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포천시, 가평군과 연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화천군과 춘천시, 서남쪽으로는 포천시 및 양주시와 접해 있다. 덕현리유적은 북한강 지류인 조종천 주변에 위치한 충적대지에 위치한다. 37번 국도가 인접해 있으며 주변 대부분은 구릉성 산지이다. 가평군은 북쪽으로 포천, 화천과 경계를 이루며 남으로는 양평군, 서로는 남양주시, 동으로는 춘천과 인접해 있다. 북쪽으로 광주산맥의 최고봉인 해발 1,468m의 화악산을 비롯하여 촛대봉, 매봉, 국망봉, 강씨봉, 수덕산, 명지산 등 해발 800~1400m의 산맥이 이어진다. 가평천과 조종천은 이들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한강으로 합류되어 북동에서 남서로 흐른다. 가평천과 조종천, 북한강유역 주변으로는 구석기시대 이래 많은 유적들이 분포한다. 특히 청동기시대 유적으로는 석장리 고인돌, 이곡리유적이 분포하며 대성리와 연하리유적에서는 이른 시기 취락이 조사된 바 있다.
청평~현리 도로건설 공사구간(C지구)에 해당하여 2002년 한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지표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유적의 존재가 알려졌다. 이후 2004년 동 기관에 의해 시굴조사가 확인되어 철기시대 집자리 3기와 구덩유구 2기가 확인되었다. 이에 2005년 동 기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1호는 평면 凸자형으로 크기는 610×480×30cm이며 출입구는 방형으로 길이와 너비 110㎝이다. 출입구 부분에 두껍게 소토가 확인된다. 내부 바닥면에는 기둥구멍과 화덕자리가 확인된다. 화덕자리는 집자리 중앙부에 시설되었는데 부석형 점토띠식이며 북쪽 모서리에는 판석과 냇돌, 진흙을 이용하여 만든 부뚜막시설이 확인된다. 화구부에는 소토와 목탄이 두텁게 남아있다. 기둥구멍은 출입구 양측을 비롯하여 벽가에서 확인되는데 크기는 직경 20~30㎝ 정도이다. 바닥은 진흙을 깔아 생활면을 조성하였다. 2호는 평면 凸자형, 1,150×690×50cm 크기의 대형 집자리이다. 출입구는 장방형으로 240×150cm 크기이다. 바닥면 중앙에는 길이 150cm, 폭 100cm 크기의 부석형 점토띠식 화덕자리와 부뚜막이 마련되었다. 부뚜막은 판석과 냇돌로 골조를 만든 후 진흙을 발라 제작하였다. 벽가에는 직경 30~40cm 크기의 기둥구멍이 열을 지어 위치한다. 바닥면은 진흙을 다짐하여 생활면을 조성하였다. 3호는 일부만이 조사되었다. 내부시설로는 직경 16~24㎝ 크기의 기둥구멍만이 확인된다. 바닥에는 전체적으로 점토다짐한 흔적이 확인된다.
평면 방형의 소형유구는 2기가 조사되었다. 각각 210×230×70cm, 280×280×40cm 크기이다. 1호에서는 강돌과 다량의 토기가 확인되는데 저장시설이나 폐기장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빗살무늬토기, 중도식민무늬토기, 통형기대, 손잡이 달린 동이, 시루, 원저단경호, 대옹, 심발형토기, 뚜껑, 가락바퀴 등의 토기류와 간돌화살촉, 돌끌, 목재 빗, 옥, 철촉, 투겁창 등의 석기류 및 목기, 철기류가 출토되었다.
덕현리유적은 마장리유적, 이곡리유적, 대성리유적, 항사리유적과 함께 가평지역 청동기시대~철기시대의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 덕현리유적에서 발견된 유구유물 양상은 북한강유역 정치체의 등장과 성장,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부석형 점토띠식 화덕자리와 부뚜막식 화덕자리의 공반은 하남 미사리유적에서도 확인되었는데 이를 근거로 한다면 덕현리유적은 경기와 강원지역의 문화양상을 동시에 살필 수 있는 문화적 연결고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경질민무늬토기와 타날문토기의 공반과 측정된 방사성탄소연대(1850±60 BP, 1910±60 BP, 1730±60 BP)는 주변지역 철기시대 유적의 편년의 지표가 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덕현리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20_008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