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阿輩雞彌, 自表天兒之稱.

阿輩雞彌, 自表天兒之稱.
宋書주 001
각주 001)
원문 「宋死弟宋書」. 죽내본 「宋死弟立宋書」로 교감. 알려진 왜왕의 이름 중 「宋」이 없으므로 따르기 어렵다. 「宋死弟」를 衍文으로 판단하여 「宋書」로 교감.
닫기
曰: “永初中, 倭國有王, 曰讚. 至元嘉中, 讚死, 弟珍立, 自稱使持주 002
각주 002)
원문 「時」.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持」로 교감. 비슷한 자형에 따른 誤記가 확실하므로 「持」로 교감.
닫기
節·都督·安東大將軍·倭國王. 順帝時, 遣使上表云: ‘自昔[祖]禰주 003
각주 003)
원문 「禰」. 죽내본은 원문 그대로 씀. 길림본 탕천본은 「祖」를 보입하여 「祖禰」로 교감. 현전 『宋書』 원문에 따라 「祖」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 東征毛人五十五國, 西服衆夷六[十六國]주 004
각주 004)
원문 「六」. 죽내본은 「十六」을 길림본·탕천본은 「十六國」을 보입하여 교감. 현전 『宋書』 원문에 따라 「十六國」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 渡平海北九十五國.’” 今案, 其王姓阿每, 國號爲阿輩雞彌주 005
각주 005)
원문 「雞」.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彌」를 보입해 교감. 정문을 보면 脫字임이 확실하므로 현전 『隋書』 원문을 따라 「雞彌」로 교감.
닫기
. 華言天兒也. 父子相傳王. 有宮女六七百人. 王長子號和哥弥多弗利, 華言太子.

  • 각주 001)
    원문 「宋死弟宋書」. 죽내본 「宋死弟立宋書」로 교감. 알려진 왜왕의 이름 중 「宋」이 없으므로 따르기 어렵다. 「宋死弟」를 衍文으로 판단하여 「宋書」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時」.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持」로 교감. 비슷한 자형에 따른 誤記가 확실하므로 「持」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禰」. 죽내본은 원문 그대로 씀. 길림본 탕천본은 「祖」를 보입하여 「祖禰」로 교감. 현전 『宋書』 원문에 따라 「祖」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六」. 죽내본은 「十六」을 길림본·탕천본은 「十六國」을 보입하여 교감. 현전 『宋書』 원문에 따라 「十六國」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雞」.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彌」를 보입해 교감. 정문을 보면 脫字임이 확실하므로 현전 『隋書』 원문을 따라 「雞彌」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阿輩雞彌, 自表天兒之稱. 자료번호 : hw.m_0002_0100_0050